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뉴스
"
얼굴
"(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봄볕 피부 건강 지킬 과학적 팁 세 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바를 수록 비타민D 합성 능력이 98%가량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전문가들은
얼굴
외의 부위, 팔이나 다리 등에는 선크림을 되도록 바르지 않거나 하루 20분씩 햇볕을 쬐라고 조언한다. 2016년 1월에는 마이클 홀릭 미국 보스턴대 의대 내과 전문의가 자외선 중에서도 몸에 해로운 파장(315~380nm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김용석·신호철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심층학습 기능이 탑재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해 주변의 빛에 영향받지 않는
얼굴
인식시스템을 개발했다. 신 수석연구원은 “함께 기술개발을 진행한 동료와 회사에 감사드린다”며 “보안성과 편의성이 뛰어난 혁신적인 생체인식 기술을 개발해 일상생활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 ...
현대모비스 "자율주행용 영상인식 AI, 3년후 양산차에 적용"
연합뉴스
l
2019.04.01
전문인력을 2배 수준으로 확충했고, 국내 객체인식 업체 '스트라드비전(Stradvision)과 중국
얼굴
인식 업체 '딥글린트'(Deep Glint) 등 스타트업에 지분투자를 했다. 특히 최근에는 러시아 최대 인터넷 기업 '얀덱스'(Yandex)와 내년까지 '로보택시(Robo Taxi) 플랫폼' 공동개발을 위한 협업을 진행 중이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비합리적인 생각에도 합리적인 이유 있다
2019.03.31
점점 친해지다가 결혼을 하고 가정을 이룹니다. 그리고 평생 같이 살아갑니다. 전에는
얼굴
도 모르던 사람입니다. 도무지 있을까 싶은 이런 일이 세상에는 매일같이 일어납니다. 물론 대부분의 ‘망상’은 이런 과대한 혹은 낭만적인 상상이 아닙니다. 부정적이고 무서운 상상이 더 흔합니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왜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일까
2019.03.24
밖은 위험합니다. 혐오는 좋지 않은 사물이나 사람을 피하는 것입니다. 오물을 보면
얼굴
을 찌푸려지죠. 썩은 음식이나 더러운 장소는 꺼리게 됩니다. 감염을 막고 상한 음식을 피하는 것입니다. 기침을 콜록거리면서 만원 지하철을 타볼까요. 머리도 한 삼일정도 안 감는 것이 좋겠네요. 아마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있다”고 말했습니다. 가장
얼굴
이 긴 상어, 가장 이빨이 많은 상어 톱상어는 가장
얼굴
이 긴 상어입니다. 길고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이빨이 달린 주둥이가 인상적입니다. 주둥이는 원래 모래 바닥에 숨은 먹이를 찾는 용도로만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2012년 호주 ... ...
새를 사냥하는 악어 ‘화제’
팝뉴스
l
2019.03.20
테네시 대학교의 블라디미르 디네츠 교수가 2013년 인도에서 촬영한 것이다. 가지를
얼굴
위에 올려놓으며 새들이 날아와 물어가려고 한다. 둥지를 만드는 데 쓰기 위해서다. 새가 뭣도 모르고 다가오면 악어는 입을 벌려 새를 잡아 먹는다고 한다. 사진은 악어가 도구를 활용하는 사례를 ... ...
[팩트체크] 무선이어폰 전자파 우려?…"휴대전화보다 낮아"
연합뉴스
l
2019.03.19
예방 차원에서 어린이의 경우 가급적 휴대전화 사용을 자제하고, 통화할 때 휴대전화를
얼굴
에서 조금 떼거나 이어폰 마이크를 사용하는 방식을 권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 세계 소아암 게놈 데이터를 모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한 흰토끼 인형을 안고 창밖을 바라보고 있다. 머리를 가린 채 등지고 있어 어린이의
얼굴
은 보이지 않지만, 귀가 축 늘어진채 쓸쓸하고 애처로운 토끼의 표정이 대변해주는 듯 하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특집으로 ‘소아암’을 다루며 소아암 환자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15일자 표지에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간은 본능적으로 괴담에 잘 빠진다
2019.03.16
태곳적 시기죠. 무서운 이야기에는 괴물이 등장합니다. 뿔이 나고 피부색이 다르며
얼굴
도 아주 이상하게 생겼습니다. 옷차림이나 말투도 다릅니다. 집단생활을 시작하면서 인류가 겪게 된 가장 큰 위험 중 하나는 바로 외적의 침입입니다. 신석기 초기에는 대략 40% 이상의 인구가 부족 간 전투로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