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뉴스
"
행성
"(으)로 총 1,564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 저녁 8시 12분, 통학버스만한 소
행성
이 다가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0.41%로 사실상 충돌 가능성은 없다. 현재 2020 QG는 역사상 지구와 충돌하지 않은 소
행성
가운데 가장 가까이 접근한 것으로 기록됐지만, 2018VP1은 폭이 약 2m로 2020 QG보다 작아 11월 지구를 지나가면 최소 기록 타이틀을 빼앗아 오게 된다. ... ...
23일 새벽 떨어진 별똥별 정체는 두 차례 폭발한 '파이어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차량 블랙박스 영상에 포착된 별똥별의 모습이다. 인스타그램 캡쳐 별똥별은 혜성이나 소
행성
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이나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가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 마찰로 불타는 현상이다. 주로 유성이라고 부른다. 하루 동안 지구 전체에 떨어지는 유성 중 ... ...
캔위성 경연대회서 충북과학고·공군사관학교 최우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인공지능 딥러닝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의 접목과, ‘초소형위성 기술 실증’, ‘
행성
탐사를 위한 착륙 충격량 완화’ 등 뉴스페이스 관련 아이디어가 돋보였다”고 말했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제한된 상황에서도 우주에 대한 꿈과 열정을 보여준 학생들이 ... ...
토성 달 '엔켈라두스' 북반구에도 바닷물로 형성 새 얼음 흔적
연합뉴스
l
2020.09.21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에 따르면 프랑스 낭트대학
행성
및 지구역학 과학자 가브리엘 토비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토성 궤도선 카시니호에 장착된 '가시광 및 적외선 지도화 분광기'(VIMS) 자료로 얻은 적외선 합성 이미지를 통해 이를 찾아냈다고 과학 저널 ... ...
인터스텔라 제작자 린다 옵스트 "예측되지 않은 연결 사회, 인류를 또 다른 기로에 서게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생각”이라며 “이제는 위성들이 태양계 밖의 생명체를 찾고 지구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행성
들이 속속 발견되고 있다”고 말했다. 옵스트는 지금의 인류가 기로에 서 있다고 진단했다. 현재 세상을 빠르게 바꾸고 있는 인터넷과 네트워크로 촘촘히 연결된 세상은 SF 등을 통해 과학자들을 넘어 ... ...
금성 대기에서 생명 활동 흔적 제시하는 물질 발견
2020.09.15
소사실바MIT 연구원 역시 “지각을 지닌
행성
중 인화수소를 발견할 수 있는 유일한
행성
은 지구였고 그 이유는 생명체”라며 “우리는 생명체 없이 이 물질이 생성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탐색했다. 천문학자들이 추가 연구를 통해 다른 가능성을 찾아 연구를 해 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
보이저2호도 놓친 천왕성 위성 정체 10년 전 자료로 밝혀내
연합뉴스
l
2020.09.15
이는 거친 얼음 표면을 가진 작은 천체의 특징이라는 점에서 태양계 외곽의 왜
행성
인 명왕성이나 하우메아와 비슷한 천체일 것으로 추정하는 근거로 제시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정교한 우주탐사 미션이 있어야만 태양계에 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 ...
[화보+]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선정 올해의 천문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3
지난해 10월 31일 촬영한 것으로 당시 달과 목성 거리는 약 7억 km정도다.
행성
과 혜성, 소
행성
부문에서 수상했다. 피터 워드/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제공 호주 사진작가 피터워드가 촬영한 성운 NGC 3576의 모습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옹해 주변의 별을 제거하고 사진의 색상을 붉게 ... ...
소
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돌조각 자체는 베누의 궤적 자체에는 영향을 미칠 수준은 아니지만 수천만 년에 걸쳐 소
행성
질량을 중앙으로 옮기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도 분석했다. 베누는 현재 지구에서 약 2억 9000만 km 떨어진 곳에 있다. 오시리스-렉스는 다음달 20일 베누 표면에서 암석을 채취하는 임무에 나선다. 베누에 ... ...
지구가 달을 녹슬게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표면을 녹슬게 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리슈아이 미국 하와이대 지구물리 및
행성
학 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연구결과를 이달 2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철은 지구에 풍부한 산소 및 물과 반응해 붉은 녹을 만든다. 하지만 달은 다르다. 표면과 내부에 산소가 거의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