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4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우리 집 개와 고양이가 코로나19를 옮길 위험이 있을까
2021.03.18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의 코로나바이러스 역시 바이러스 스파이크단백질과 숙주
세포
ACE2 수용체의 결합으로 감염이 시작된다. 코로나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스파이크단백질 구조에 차이가 존재한다. 종간 ACE2 수용체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이(異)종 간에 ACE2 수용체 염기서열의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세브란스병원, 코로나19 예방접종 통합대시보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공동 초청으로 진행됐다. 연구원들은 코비박의 국내 제조를 위해 GC녹십자,안동동물
세포
실증센터 방문할 예정이다. ■이화여대 의료원은 17일 대한의료데이터협회와 의약품 제조업체 메디헬프라인과 의료데이터 산업 글로벌 육성 및 임상시험 전문가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양 ... ...
범부처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장에 조인호 이화여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은 재생의료분야 핵심∙원천기술의 발굴 확보를 통해 줄기
세포
‧유전자 등을 활용한 치료제 및 치료기술의 임상단계까지 전주기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7월부터 2030년까지 치료제 4건과 특허 1409건 및 기술 이전 317건 확보를 목표로 10년간 총 5955억원이 투입된다. ... ...
'3억 상금 반납 거부'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결국 법정 선다
2021.03.16
소가는 3억원이다. 황 전 교수는 서울대 재직 시절인 2004년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줄기
세포
를 추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었다. 관련 연구성과로 대통령상인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과 상금 3억원을 받았다. 그러나 논문이 조작된 것으로 드러나 2005년 서울대에서 ... ...
어린 연령층 감염률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숫자가 어른보다 아이들이 적기 때문으로 추정해왔다. 변이 바이러스가 숙주의 호흡기
세포
에 더 쉽게 붙도록 스파이크 단백질이 돌연변이를 일으켰다는 분석이다. 변이 확산은 이미 국내에선 현실화하고 있다. 방대본에 따르면 11일 기준 지난해 10월 이후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257건에 ... ...
[동일본대지진 10년]“오염수 탱크 10개 방사성 핵종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영향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면서도 “다행히 삼중수소는 살아있는
세포
에 거의 손상을 입히지 않는 저에너지 베타(β)입자를 내는 베타핵종이어서 다른 방사성 핵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말했다. 뷰슬러 소장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탱크에 ... ...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 백신 부작용 많이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인체 내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감 백신의 경우 에스트로겐은 면역
세포
가 더 많은 항체를 생산하도록 영향을 미친다. 또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체내에서 ‘사이토카인’으로 불리는 면역 화학물질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과 여성의 유전적 차이도 ... ...
A형은 약하고 O형은 강하다?…혈액형으로 본 코로나 취약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영역(RBD)을 숙주
세포
표면의 수용체(ACE2)에 결합하면서 체내에 침투한다. 스토웰 교수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이 A와 B, O형 혈액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 실험했다. 그 결과 RBD가 다른 혈액형에 비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쉽게 섭취가 가능하다. 아직
세포
실험 단계이기에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상기도의 상피
세포
에 고농도로 투약할 수도 있어 약물로 개발됐을 때 무증상환자나 초기 환자에게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연구진은 현재 동물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동물실험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온다면 ... ...
코로나 변이에서 면역
세포
억제 단백질 발견...화이자 모더나 백신 효능저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방해하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접종중인 mRNA 백신은 펩타이드에 대한 T
세포
의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표적 펩타이드 중 일부가 변이를 일으키면 mRNA 백신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향후 서로 다른 HLA 유형을 지닌 개인간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