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차단"(으)로 총 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2018.09.04
- 위해 독액을 분비하는데, 그 성분인 아미노산 35개로 이뤄진 펩티드 ShK가 칼슘 통로를 차단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뒤 이를 조금 변형해 Kv1.3에 좀 더 선택적으로 달라붙는 펩티드 약물 달라자티드(dalazatide)를 만들었다. 지난 2015~17년 건선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 결과 안전성과 효과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 것은 아닐까? 하늘에서 떡이 떨어지길 바라는 비현실적인 바람이 다양한 가능성을 차단했던 것은 아닌지 생각해볼 일이다. * 지뇽뇽 작가의 신작. 나에게 처음으로 따듯해져보는 자기자비 연습 이 출간되었습니다. [1] Blackwell, L. S., Trzesniewski, K. H., & Dweck, C. S. (20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2018.05.01
- 활성형(T-705RTP)으로 바뀌어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게놈의 복제(replication)를 교란해 증식을 차단한다. 파비피라비르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뿐 아니라 그림의 에볼라바이러스(EBOV)를 비롯해 다른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게놈 복제에 관여하는 RNA중합효소의 구조가 다들 ... ...
- 남북 종전 선언 기대 속… 북한 IT과학은 어느 수준? 2018.04.19
- 1에 해당하는 약 400만 명이 스마트폰을 쓰고 있습니다. 모두 북한 외부 지역과의 접촉은 차단돼 있으며, 감시를 위한 기본 도구들이 설치돼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변형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북한에서 가장 대중적인 스마트폰은 ‘아리랑’입니다. 덴마크의 소프트웨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H+)을 위 내강으로 내보낸다. 위산분비는 여러 신호에 따라 정교하게 조절되므로 신호를 차단해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도 있지만(예를 들어 히스타민수용체(H2)길항제) 여기서는 다루지 않았다. - Memorang 제공 비유하자면 양성자 펌프는 양쪽에 문이 있는 출입구다.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왼쪽이 ...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동아사이언스 l2018.04.14
- 결과 식물을 구성하는 세포 사이의 연결 채널인 ‘원형질 연락사(Plasmodesmata)’의 통신이 차단되는 일부 원인을 규명했다. 식물 세포에서는 세포벽을 통해 물에 녹는 미세한 단백질이나 용질 등 크기가 작은 물질이 침투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크기가 큰 물질들은 세포벽을 투과하지 못한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친구들을 잘 만나지 못하게 하고 주변 사람들로부터 고립시켜 도움을 받을 가능성을 차단시킨다 (Bonomi et al., 2006). 누가 너 따위를 좋아하냐는 등의 지속적인 모욕으로 사람들을 찾아 나설 용기를 잃게 만들기도 한다. 4. 의존 관계 형성 네 번째는 의존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폭력을 휘두른 다음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개인맞춤 치료 시대 올까?동아사이언스 l2018.03.24
- 만들어 암세포를 죽이는 방법이다. 면역항암제는 암세포가 면역세포를 공격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등의 작용을 한다. 최근 이런 면역항암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국내외 제약회사 등에서 새로운 면역항암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임상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2017.12.19
- 저장되는데 이를 엔그램(기억흔적)이라고 부른다. 망각은 엔그램이 소멸되거나 인출이 차단되는 현상으로 수동적(passive) 과정과 능동적(active) 과정으로 나뉜다. 최근 신경과학자들은 능동적 망각인 고유망각 개념을 제안했는데, 이에 따르면 망각세포도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참조. - 뉴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2017.11.21
- 근육세포의 막에 있는 염소이온 통로단백질에 달라붙어 통로를 열어 신경신호전달을 차단해 근육을 마비시켜 작용한다. 그런데 KPNB1 단백질에도 달라붙어 그 작용을 방해한 것이다. 다만 이버멕틴 단독으로는 항암 효과가 충분하지 않았고 택솔 같은 기존 항암제와 함께 쓸 때 시너지 효과가 큰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