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전지 되려면…전기 잘 통하는 ‘촉매’ 써야2015.11.26
-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송현곤, 김건태, 곽상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는 차세대 전지의 성능이 촉매의 전기 전도도에 달렸다는 사실을 증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수소연료전지나 금속공기전지 등 차세대 전지는 수소나 금속을 산소와 ... ...
- 부당해도 억울해도 탈출하기 어려운 ‘지옥의 실험실’ 실체과학동아 l2015.11.26
- 옴부즈퍼슨은 연구실에서 일어나는 모든 갈등을 다룬다. 윤태웅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교수에게도 도움이 되는 제도”라고 했다. “꼭 지도교수가 나빠서만 갈등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경우 소통방식의 차이, 성격과 가치관의 차이로 교수와 학생 사이에 갈등이 생깁니다. ... ...
- ‘지옥의 실험실’에 제발로 들어가는 학생들과학동아 l2015.11.26
- 대학원 모든 학과의 중퇴·졸업 비율, 학위수여기간을 공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항공우주공학과는 2010년 박사과정에 8명이 입학해 2명이 1년 만에 그만뒀다. 1명은 5년 만에 졸업했고, 3명은 6년 만에 졸업했으며, 2명은 아직 학교를 다니고 있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이런 식으로 재학생·졸업생 ... ...
- 전기 만드는 기특한 바이러스를 아시나요2015.11.25
- 전기 생산 효율을 최대 6배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오진우 부산대 나노에너지공학과 교수와 황윤회 나노융합기술학과 교수팀은 전기를 만드는 바이러스인 ‘M13 박테리오파지’를 수직으로 쌓는 방법을 개발해 발전 효율을 6배 높였다고 25일 밝혔다. M13 박테리오파지는 표면 단백질의 양 ... ...
- KAIST 대학생이 학교에 3000만 원을 쾌척한 까닭2015.11.25
- 주인공은 24일 강성모 KAIST 총장에게 해당 금액을 학교 발전기금을 전달한 전기 및 전자공학부 4학년인 오승규 씨(27). 오 씨는 2010년 1인 기업 ‘오리지널’을 창업한 뒤 지하철용 스마트폰 앱 ‘지하철 내비게이션’을 선보였다. 이 앱은 출발역과 도착역만 지정하면 지하철 운행 시간을 확인해 ... ...
- ‘초대칭이론’으로 설계한 新 물질 나올까2015.11.24
- 물질의 장점을 모두 갖춘 새로운 물질을 최초로 설계했다. 박남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입자물리학에서 활용되는 ‘초대칭이론’을 물질 설계에 처음으로 적용해, 결정 물질과 비결정 물질의 장점만을 취한 신개념 물질을 제안했다고 24일 밝혔다. 초대칭이론은 모든 ... ...
- ‘물질계 엄친아’ 다강체 상온 작동 원리 풀렸다2015.11.24
- 상온에서 작동하는 원리를 밝혀냈다. 이준희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다강체 ‘비스무트 산화철’이 독특한 물리적 특성 때문에 상온에서도 자성과 유전성을 동시에 띤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다강체란 N극과 S극으로 구분되는 자성과 함께 양극(+)과 ... ...
- [비교해봤습니다] IQ 가장 높은 로봇 청소기는 뭘까요2015.11.24
- 로봇 청소기의 지능지수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범희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로봇 청소기 중 국내 제조사 2곳(LG전자, 삼성전자), 해외 제조사 2곳(아이로봇, 포어베르크)이 만든 주력 제품의 지능지수를 측정한 결과 LG전자 제품이 가장 똑똑한 것으로 ... ...
- 삼성전자 연구원 KAIST 다니더니…2015.11.23
- 5배까지 속도가 빨라 차세대 컴퓨터 등에 두루 쓰일 것으로 보인다.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병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책임연구원(38)은 KAIST 나노종합기술원 연구진과 공동으로 ‘실리콘 기반 5단 수직 적층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현재 ... ...
- 구글 193만 ㎞ vs. 한국 3㎞, 자율주행차 제도 개선 시급2015.11.22
- 제약이 많아 비공개로 실험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자율주행차 연구를 꾸준히 하고 있지만 법적으로 도로 주행이 불가능해 공항의 활주로 등을 빌려서 실험하고 있다”면서 “실제 도로에서의 돌발 상황 등은 체험할 방법이 없어 연구개발에 ... ...
이전7367377387397407417427437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