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양
여럿
여러
d라이브러리
"
다
"(으)로 총 9,379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노벨과학상 수상을 며칠 앞둔 10월 초 미국 버클리대 김성호 박사에게 E메일을 보냈
다
. 1987년 발암단백질 라스의 3차원 입체구조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는 등 탁월한 연구성과를 쏟 ... 집착해 노벨상 시즌에 잠깐 관심을 높이
다
이내 잊어버리는 과정이 당분간 지루하게 반복될 것이
다
.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흔히 별똥별이라 불리는 유성은 우주 공간을 떠돌던 먼지티끌들이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빠른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한 후,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타버리면서 밤하늘에 멋진 빛줄기를 보여주 ... 색깔의 빛을 내므로 이들을 비교해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도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
다
. ... ...
불가능의 과학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광속 우주여행은 실현될 수 없
다
.""인간은 아무리 오래 살아도 1백20살을 못넘긴
다
."현대 과학으로는 '죽었
다
깨나도' 해결할 수 없는 불가침의 영역이 있
다
. 과학기술이 ... 인류가 맞이할 미래의 운명을 점쳐보자. 필자와 의견을 달리 하는 독자 여러분의 아낌없는 지적과 비판을 바란
다
... ...
목성 띠 생성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1970년대 나사에서 발사한 두 개의 보이저 우주선은 처음으로 목성의 링 구조를 보여주었
다
. 납 작한 주 링의 안쪽으로 구름처럼 희미한 또하나의 링이 겹쳐 있었
다
. 당시 보이저 ... 크기와 속도에 따라 궤도를 갖게 된
다
. 이는 마치 위성이 목성 주위 에서 궤도를 도는 것과 마찬가지
다
... ...
인조인간 로봇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역사상 유명했던 ‘스타로봇’의 계보는 1956년작 영화 ‘금지된 행성’에 나온 로비에서 시작된
다
. 20여년 뒤 ‘스타 워스’의 R2-D2와 C3PO가 등장하면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다
시 80년대 ... 경우가 대부분이
다
. 최근 소개된 영화 ‘에일리언 4’에 나오는 위노나 라이더가 좋은 예
다
.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자라던 닥나무도 점차 사라져 가고 있
다
. 농가에서는 겨울철 농한기에 벤 닥나무 껍질을
다
듬어서 한지공장에 공급해 주고, 한해 필요한 종이를 얻어 썼
다
. 그러나 닥껍질을 수매하던 한지공장이 없어지니 농가에서는 더 이상 닥나무를 재배할 필요가 없어졌고 필요한 종이는 구입해 쓰게 됐
다
. 국산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적응하지 못하고 죽었
다
.스카이랩의 최대 실험은 우주비행사 자신을 관찰하는 일이었
다
. 장기간 우주에서 생활하면 인간은 어떻게 될까. 이 연구에서 육체적인 변화 못지않게 정신적인 요소도 중요하
다
는 사실을 발견했
다
. 스카이랩 3호의 우주비행사들은 쉴틈없는 스케줄에 불만을 품고 짧게나마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기아(fames)의 약자로 해석했
다
. 그래서 지구에는 늘 근심과 굶주림이 가득하
다
고 생각했
다
.케플러는 자신이 이룩한 천문학적 업적에 비해 당대에 이렇
다
할 명성을 얻지 못하고 생을 마쳤
다
. 하지만 그는 이 점에 대해 크게 연연하지 않았을 것이
다
. 피타고라스와 마찬가지로 천체의 신성한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영어에는 우리 말의 ‘우주’를 뜻하는 세개의 단어가 있
다
. 스페이스(space), 유니버스(universe), 코스모스(cosmos)가 바로 그것이
다
. 이들은 모두 우주로 번역되기 때문에 우리들을 혼 ... 등의 스타들이 후원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민간천문단체인 행성협회 등에 의해 맥이 이어지고 있
다
. ... ...
혈액형 발견한 외과의학의 구세주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인류의 수명은 지난 1, 2백년 사이에 35세 안팎에서 약 70세로 두 배 가량으로 늘어났
다
. 이렇게 수명이 크게 늘어난 데에는 의식주 생활의 전반적인 향상과 더불어 현대의학의 발전이 커
다
... 문제를 극복하게 된 외과의사들이 더욱 과감한 수술을 함으로써 외과의 발전도 가속화됐
다
. ... ...
이전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