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09
또 제철과정에 필요한 탈산제(약품)로도 사용된다.스티로폴 -생활용품 등 100% 재생
가능
폐 발포 플라스틱(스티로폴)도 훌륭한 자원이 될 수 있다. 발포 플라스틱은 98%가 공기로 이루어져 자원의 절약성이 우수한데다 포장재 또는 완충재로서 타 소재에 비해 경쟁력이 뛰어나다.그러나 1회용 용기류나 ... ...
"오존 측정 잘못됐다" 색다른 주장
과학동아
l
199409
상공의 오존 구멍을 처음 발견한 영국 남극조사단의 조 퍼먼은 "싱어 박사의 말은 충분히
가능
성 있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즉 일반적으로 오존층이 얼마 만큼 엷어졌다고 하는 것은 불확실한 일이지만 남극 위의 오존층이 매우 엷어지고 있다는 것은 부정 못할 ... ...
퍼지이론, 인간두뇌 같은 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09
퍼지컴퓨터다.속담에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살지'라는 말이 있는데, 그것은 인간이기에
가능
한 것이다. 기계는 부분이 고장나면 그만이다. 그런 일은 컴퓨터가 하도록 한다. 종전의 컴퓨터는 일부가 고장나거나 입력에 다소 잘못이 있어도 엉뚱한 답을 내는데, 퍼지 컴퓨터는 그것을 보안하도록 돼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09
모형이 전시돼 있는 우주갤러리, 지구궤도를 돌고 있는 우주왕복선과의 통신이
가능
한 상황실, 간단한 우주체험을 할 수 있는 라이브실험실 등이 마련돼 있다.상황실에서는 우주왕복선이 출발에서 귀환까지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가 영상과 함께 자세히 설명된다. 기자가 방문했을 때 일본인 여자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
과학동아
l
199409
못한 현상도 남아 있다. 아직 축제가 끝나지 않은 것이다. 그 중의 하나는 목성 테의 생성
가능
성이다. 호라니 박사는 새로운 테가 3-4년 후에 생성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우리나라도 천문대에서 하루빨리 적외선 카메라를 구입해 역사적 장면을 반드시 관측해야할 것이다 ... ...
제주도 양치식물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409
달라지지요. 가령 여기 계신 15명이 일치단결하면 양치식물 뿐 아니라 어떤 연구도
가능
할 것입니다. 선진국의 경우 그러한 동호인 모임이나 연구회가 방방곡곡에 있습니다. 나는 특히 우리 인구의 절반이 잠들어 있다고 보는데, 여성들의 힘을 이끌어낸다면 우리 식물 분류학도 엄청나게 발전할 ... ...
뇌지도 완성 인간마음 읽는다
과학동아
l
199409
60억원 상당에 도입되었다. 물론 성능면에서는 PET가 fMRI를 앞선다. fMRI보다 검출
가능
한 신호의 범위가 훨씬 넓을 뿐만 아니라 한번에 뇌 전체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요컨대 뇌의 영상기술은 PET와 fMRI의 경쟁 속에서 발전을 거듭할 것으로 전망된다.인간의 뇌는 이 세상에서 가장 신비스러운 ... ...
3. '통신 천국' 미국 온라인 서비스망
과학동아
l
199409
올 5월에 내놓은 컴퓨서브CD(이하 OCD)는 현재 컴퓨서브사의 최고 접속속도인 14.4kbps로도 불
가능
한 각종 정보의 멀티미디어 처리를 오프라인 상태로 구현해 놓은 제품. 총용량이 4백88MB에 달하는 OCD에는 주로 컴퓨서브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많은 정보제공자들이 자사의 포럼에 들어와 보면 이러이러한 ... ...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09
것이다.병원에서 신생아의 식별 수단으로 지문 대신 족문을 찍는다. 족문으로도 구별이
가능
할까. 이렇게 하는 중요한 이유는 잉크가 묻은 손가락을 아기가 입에 넣어 빨아먹을까 우려해서다. 또 다른 이유는 꿈틀거리는 갓난아기를 다루자면 10개의 작은 손가락보다는 두 발이 훨씬 편하기 때문이다 ... ...
(2) 유전공학 이용 생체설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09
변하며 그 단백질이 가진 생물활성 또한 변하게 된다. 이같은 일은 인공적으로도
가능
하며 처음 단백질보다 더 나은 생물활성을 가진 단백질을 만들 수도 있다. 우리는 자연의 힘을 초월하는 새로운 기술을 손에 넣은 것이다. 이것이 '단백질 공학'이란 꿈이다.단백질의 생물학적 역할을 ... ...
이전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