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호주에서 살고 있는 악어 무덤새 브라운뱀 등은 일반의 상식을 완전히 뛰어넘는 묘한 생태를 보여준다.문제1 오스트레일리아의 맑은 강물에 살고 있는 ... 모래보다 태양열을 잘 흡수한다는 점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어떤 무덤새는 온천 가까이에
알
을 낳아 지열로 부화시키기도 한다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오늘날 또다른 생물의 자연발생은 절대 일어날 수 없음을 잘
알
고 있다. 그 까닭은 오늘의 지구상의 물속에는 다량의 유기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설사 자연적으로 유기물분자가 복합체를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지구상에 존재하고 있는 분해자인 세균에 의해서 바로 ... ...
자장(磁場)이 여아(女兒) 출생비율 높여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연구진들은 인간의 뇌속에 자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에 따르면
알
츠하이머병환자의 뇌에는 더많은 자석이 축적돼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들이 자장과 남녀출생비율과의 관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는 아직 단정짓기 어렵다. 그러나 인체내의 자장에 관한 연구가 미개척분야로 ... ...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그들은 정상유전자를 옮길 세포로 골수조직의 조혈(造血) 기간세포(stem cell)를 선택했다.
알
다시피 기간세포는 적혈구나 백혈구로 분화될 수 있는 잠재적 능력을 가진 세포다.골수기간세포를 유전자 이입세포로 선택한 것은 그 당시 현명한 판단으로 여겨졌다. 그 근거는 세가지나 되었다. 첫째로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들은 그 당시의 서양인들이 동양에 대해
알
고 있었던 것보다 더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이 지도는 조선학자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사실상 유일한 세계지도다. 그것은 당시의 세계지리학의 지식을 결산한 것이었고, 17세기에 마테오 리치가 세계지도인 ... ...
수출부진과 내수폭발의 희비쌍곡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코오롱을 비롯, 4~5개의 재벌기업들도 유통업에 신규 참여할 것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
려져 내년에는 기존 유통망을 갖고 있는 PC메이저와 이들 전문 유통기업들간에 역할분담을 둘러싸고 한차례 소용돌이가 일 수도 있다.현재까지 드러난 이들 전문 유통업체의 성과는 시각에 따라 달라질 수도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천문가 허블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는 멀리 떨어진 별일수록 더 빨리 멀어진다는 사실을
알
아냈다. 즉 계속해서 우주가 부풀고 있다는 증거를 포착한 셈이다. 이는 팽창하는 풍선의 각 점이 서로 멀어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만약 우주가 시간과 더불어 부풀어 간다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 공간은 ... ...
촛불 앞에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쟁반위에 두고 물들인
알
코올을 바닥에 부어 놓으면 소금덩어리의 틈 사이로
알
코올이 딸려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불도 붙일 수 있다. 4 ③ 필자가 양초를 직접 만들면서 맞부딪친 문제 중 가장 해결하기 힘들었던 난제가 심지였다. 양초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심지다. 심지가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숙주세포가 개발된다면 프라이온의 신비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 것이다.요컨대 이런
알
맹이있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단계가 되면 이 오리무중의 질병에 관한 연구는 물론이고 프라이온의 생물학적 의미에 대해 폭 넓은 해답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못했던 유전자를 집어넣어줄 것이다. 이 작업은 앞으로도 12개월이 지나야 성공여부를
알
수 있다.만약 푸른 장미가 핀다면 이 '유전공학화'(花)는 상품으로도 인기가 있을까. 일본의 산토리사는 성공을 확신하고 연구팀에 4백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의 화훼전문가들은 붉은 ... ...
이전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