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시설을 실제로 보여주겠다며 데려간 곳에는 지름이 10cm,길이는 2m
정도
되는 단단한 원통형 파이프가 가로로 놓여 있었다. 해수담수화 설비의 가장 기본이 되는 ‘베셀’이라고 한다. 한 베셀에는 둥글게 말아 놓은 원통형 역삼투막 모듈 4~8개가 직렬로 연결된다. 이런 베셀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것이 좋다. 넷째 첨삭을 통해 자신을 평가받아라. 자신의 글이 이상적인 답안에 어느
정도
접근했는지를 스스로 측정하기는 어렵다. 주위에 첨삭 지도가 가능한 교사에게 부탁해도 좋고 가족이나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친척들에게 부탁해 자신의 글을 객관화시키길 바란다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고래를 어류에 포함시켰다. 하지만 자산어보에 들인 그의 열정과 노력을 감안한다면 이
정도
의 실수는 큰 흠이라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이제 자산어보가 현대 생물학과 달리 어떤 방식으로 생물을 분류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이름은 효과적인 분류방법 생물학의 분과학문인 생물 분류학은 생물을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10월 초까지 이뤄진다. 그래 봐야 천일염을 제대로 수확할 수 있는 날은 1년에 90일
정도
밖에 안 된다.“햇볕이 예전만 못해. 10년 전만 해도 1년에 100일은 작업했는데, 요즘은 80~90일이 전부여. 염전 물에 발을 담그는 순간 딱 알제. 옛날엔 뜨거워서 발도 못 담궜는디, 요즘엔 하나도 안 뜨거워.”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늘면 금리를 올려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듯이 전력 수요가 발전량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
로 증가하면 전기료를 비싸게 매겨 수요를 누그러뜨릴 수 있다는 얘기다.전력 수요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현재 전력 생산시스템의 중심은 발전 단가가 낮은 원자력이다. 원자로는 효율과 안전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두께가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고 피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좁아진다.동맥경화가 70%
정도
진행되면 다른 증상이 나타난다. 즉 뇌에서 동맥경화가 일어나면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이 일어날 수 있고, 심장에서 동맥경화가 일어나면 심장에 피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통증(협심증)을 느끼거나 ... ...
마시면 살 빠질까? 차 음료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만든 혼합차 음료 중에는 ‘혼합차 추출액 99%’라고만 표기해 각각의 차 성분이 어느
정도
들었는지 알 수 없고 고형분 함량도 1% 미만으로 낮은 경우도 있다. 맹화섭 한의원의 맹원모 원장은 “차 음료에 포함된 차 성분의 함량이 미미 한 만큼 큰 효과를 보기는 어려울것”이라고 말했다. 큰 인기를 ... ...
삼척동자와 도량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남다른 사람은 80~90명쯤 되고 저와 같은 인물은 수레에 싣고 말로 돼야(車載斗量) 할
정도
로 많이 있습니다.” 그러자 조비가 말했다. “그대와 같은 인재를 둔 오나라의 왕이 부럽구나.” 결국 조자의 활약으로 위나라와 오나라는 군사 동맹을 맺었고 손권은 조자에게 후한 상을 베풀었다. 피리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세계 곡물 경작지의 30%가 밀밭일
정도
로 밀은 곡물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연간수확량도 2007년 현재 6억 700만t으로 옥수수(6억 9500만t)와 쌀(6억 3400만t)에 이어 근소한 차이로 3위다. 밀이 이처럼 주곡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이유는 가루를 내 국수나 빵같은 다양한 형태의 식품을 만들 수 있기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휘어진다. 그 결과 렌즈의 초점거리도 기하광학이 예측한 2.0μm보다 훨씬 짧은 0.3μm
정도
다. 초점거리란 한쪽에서 평행하게 들어온 빛이 렌즈를 통과한 뒤 한 점(초점)에 모일 때 렌즈에서 초점까지의 거리다.홍 교수는 “흥미로운 사실은 이런 현상이 기하광학의 예측에는 맞지 않지만 빛에 대한 좀 ... ...
이전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