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신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변이 자작 나무를 만들었다. 이 변이체와 자연 상태의
개
체(야생형)에(둘 다 잎이 무성하게 달려 있다) 에틸렌을 3일간 뿌려줬다. 그 결과 야생형의 식물에서는 잎의 탈리과정이 진행돼 며칠 만에 잎이 거의 다 떨어져 앙상한 줄기만 남았다. 그러나 에틸렌을 잘 인식하지 ... ...
소셜엑스레이 안경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법을
개
발하고 있답니다. 이제 소셜엑스레이 안경의 원리가 이해되셨나요? 저희가
개
발 중인 안경을 하나 보내드리죠. 또 궁금한 점이 생기면 언제든 연락 주십시오.”“이게 정말 효과가 있을까?”피카드 교수에게 받은 안경을 쓰고 약속 장소로 나갔다.민정: 오빠, 민정이 많이 늦어서 화났어요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만들었다. 지금까지 관측한 수많은 은하의 사진을 온라인(www.galaxyzoo.org)에 공
개
하고 누구나 분류 작업에 참여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은하의 사진을 보고 나선은하인지 타원은하인지, 나선은하라면 나선팔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등의 내용을 기록하는 일이다.갤럭시 주는 시작한 지 1년 만에 15만 ... ...
제8회 바이오 현미경 사진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김종문 씨가 ‘새로운 모습으로’란 작품으로 받았다. 이번 대회에는 모두 306
개
작품이 출품됐으며, 대상을 포함한 본상 14점, 입선작 48점이 상을 받았다. 당선작은 바이오현미경사진전 홈페이지(biomicro.bkidc.or.kr)에서도 만날 수 있다 ... ...
제1회 사이언스 챌린지 2011 - 한국의 젊은 노벨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성장할 수 있다”고 격려했다.‘사이언스 챌린지’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매년
개
최될 예정이다. 한국의 첫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여기에 앉아 있을 것 같다 ... ...
새들도 장래 계획 세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않으면 다른
개
미 군집을 찾아 떠난다. 이 새들은 매일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여러
개
의
개
미 군집을 추적한다.이렇게 과거를 기억하는 능력과 미래의 욕구를 해결하는 능력을 합쳐 ‘정신적 시간여행’이라고 부른다. 과거에는 사람만이 지닌 능력으로 여겼지만, 현재는 몇몇 영장류와 일부 새에게 ... ...
반도체공학 및 전기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이동현상특론, 반도체화학공정 등 반도체 전반에 대한 과목들이
개
설돼 있어서 다른 학문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현재의 연구 동향과 기업체에서 상용화 중인 최신 기술의 원리를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앞서 갈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반도체는 거의 모든 전자 제품에 ... ...
“제2의 김연아, 제가 만들 거예요”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교육도 하고 싶어요.” 지난 8월 휘경여고에서는 과제연구 발표대회가 열렸다. 총 16
개
팀이 탐구논문을 발표했다. 마지원 학생은 장려상을 받았다. “동아리 선생님이 주신 외국 수학 잡지에서 자유투와 황금비의 관계를 연구한 걸 봤어요. 제가 좋아하는 수학과 체육의 연결이라 흥미를 갖고 직접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노력했다”며 “다른 실험에 의해서 검증될 때까지 기다리는 한편 측정방법을 더욱
개
선해서 다시 중성미자의 속도를 측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박인규 서울시립대 물리학과 교수는 “아주 짧은 시간 차이기 때문에 도선을 흐르는 찰나의 시간조차도 중요하다”며 “이런 오차를 보정하는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있을 뿐 물증이 없었던 것이다.그런데 하야부사가 S-형 소행성인 이토카와에서 가져온 1500
개
의 암석입자를 분석한 결과 O-콘드라이트 운석이 S-형 소행성에서 나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오랜 세월을 기다려 온 가설이 단번에 입증됐다. 크기가 대부분 10~50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로 먼지 ... ...
이전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