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흰개미도 깜짝 놀란 에코 빌딩 CH2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집에도 사용해 봐야겠어.‘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나중에 건물을 짓게 된다면 우리 흰개미 집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의 기술을 꼭 사용해 봐.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라면 분명 더 멋지고, 에너지도 더 절약하는 건물을 지을 수 있을 거야. 나 흰개미가 응원할게~ ...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하는데 각 이름은 물 속에서 가라 앉는 속도와 관련 있다. 그림은 ‘50S’에 대한 것이다.우리도 아다 요나트 박사님처럼!혹시 포기하고 싶은 적은 없었는지, 주변에서 항상 물어보곤 해요. 불가능한 연구를 한다며 많은 사람들이 절 오랫동안 거짓말쟁이라 말해 왔거든요. 실제로 리보솜 연구는 무척 ... ...
- 채소일까, 사람일까? 숨바꼭질하는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또 젊은이와 아저씨, 할아버지 등 나이에 따른 사람의 변화를 표현하고 있지요. 특히 우리의 고정관념인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순서를 깨고 을 첫 번째 그림으로 그려서 겨울 뒤에 봄이 온다는 사실을 알려 주고 있어요. 이것은 겨울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탄생을 약속하기 때문이랍니다. ❶ ... ...
-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수학동아 l2010년 11호
- 같은 방법으로 다섯 번째 줄까지 표현하면 행렬 N이 됩니다.이 게임에서 이기려면 우리는 행렬 N와 변수 X를 곱했을 때 모든 값이 0이 나오거나 1이 나오는 변수 X를 찾아야 합니다. 저는 모두 흑이 되게 했으니까 NX=0이라는 문제를 푼 셈이죠.교수님들은 게임 상황에 대한 모든 경우를 행렬로 ...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않았다. 노벨 과학상 수상은 끈질긴 노력과 장기 투자가 이뤄낸 결과물이다. 최근 우리는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의 주목을 끌며 한국인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다. 가까운 미래의 이익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긴 안목으로 기초과학에서도 꾸준한 투자가 이뤄진다면 각종 수학상과 과학상에서 한국인의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11호
- 근데 그게 어떻다는 거예요?”“다섯은 하늘의 수지. 천문 기구로 연구를 해 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땅 외에도 행성이 다섯 개나 더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수성, 화성, 목성, 금성, 토성 이렇게 다섯이란다. 세상은 물과 불과 나무, 그리고 쇠와 흙 다섯으로 이루어진 셈이지. 그래서 다섯(5)은 ... ...
- 우리 돈과 외국 돈이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바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현재의 환율이 1200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아빠 : 우철아! 우리나라가 수출을 많이 하면 환율이 어떻게 될까?우철 : 음, 수출을 많이 한다는 말은 달러를 많이 벌어온다는 거죠?아빠 : 그렇지.우철 : 그럼 달러가 많아지니까 환율이 오르겠지요.아빠 : 그럴까? 잘 보렴. 달러가 ... ...
- [부록] 비교의 여왕, 부등식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달콤한 초콜릿의 열량은 아삭한 사과보다 높아요. 반면 초콜릿의 무게는 사과보다 가볍죠. 이렇게 어떤 두 물체 또는 수나 식의 많고 적음을 알려 ... 얼마가 걸리는지 계산해 봐야 합니다. 생활 속에 이용되는 새로운 수학을 공부할 때마다 우리는 그 필요성과 의미를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등장하는 외계인과 지구인의 혼혈도 생기기 어렵다. 오히려 외계 종족의 과학기술이 우리보다 훨씬 뛰어나다면 호킹의 경고처럼 인류가 경쟁에서 도태돼 사라질 수도 있다.그렇다면 외계행성의 동물을 식량으로 쓸 수는 있을까. 탄소 기반의 생명이라면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외계생명체의 몸에서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구조를 인식해야 한다. 몸에 독이 되는 물질이 한두 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다양한 쓴맛을 느끼지 못하고 그저 ‘쓰다’고만 느끼는 걸까.몸에 해로운 물질은 쓰다는 정보만 주면 충분하지(어차피 뱉어낼 것이므로) 물질마다 다른 식으로 쓰게 느낄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 ...
이전7417427437447457467477487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