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리경
천리경
쌍안경
축원경
반사망원경
반사
사진망원경
d라이브러리
"
망원경
"(으)로 총 1,474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원경
에 잡힌 별의 산실
과학동아
l
200401
우주 적외선
망원경
‘스피처’가 찍은 코끼리코 성운의 모습. 2천4백50광년 떨어진 케페우스 자리에 있다. 성운 아래쪽에 밝은 붉은색을 띤 물체들이 이제 ... 드러낸다. 최근 미항공우주국(NASA)은 천문학자 라이먼 스피처를 기려 지난해 8월 발사한
망원경
을‘스피처’로 정식 명명했다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01
자전속도 다르다수정시계가 등장하기 전에는 천체를 관측해 시간을 맞췄다. 매일 밤
망원경
으로 별을 관찰할 때 그 별이 보이는 시간은 항상 일정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어떤 별이 관측되는 시간을 보고서 진자시계를 맞췄다. 그런데 수정시계가 나온 후 별이 보이는 시간이 수정시계에서는 매일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12
빛을 90˚ 꺾이게 하여 경통 옆에 붙어 있는 접안경으로 보내는 방식을 쓰면 뉴튼식 반사
망원경
이 된다파도의 상하 운동에너지 이 에너지를 이용해서 동력을 얻고자 하는 파력발전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발전기·진자·전구 등을 내장한 부표를 만들고 이것을 물에 띄워 파도치는대로 움직이게 ... ...
대못안경에서 다초점렌즈까지
과학동아
l
200312
기여했다.안경렌즈는 크게 플라스틱렌즈와 유리렌즈로 구분할 수 있다. 유리는 고대부터
망원경
처럼 렌즈가 필요한 곳에 오랫동안 사용돼왔다. 소재 자체가 단단해서 잘 긁히지 않고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어 아직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깨지기 쉽고 무거운 단점이 있다.이에 비해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12
드러낸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하늘이 밝아올 것이다.성식은 맨눈이나 쌍안경,
망원경
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 흥미로운 천문 현상이다. 고대사에 남겨진 성식의 관측 기록은 시기와 장소를 알려주는 중요한 증거 역할을 하며 현대에 와서도 달의 정밀한 위치 측정 등을 위해 사용되므로 매우 ... ...
크리스마스 트리 닮은 별무리의 사연
과학동아
l
200312
사진은 미국 애리조나주 해발고도 2천m가 넘는 키트피크천문대에 있는 지름 0.9m
망원경
으로 촬영한 것이다. 사진 맨위에는 산타의 고깔모자를 닮은 까만 원뿔 모양이 보인다. 바로 아래의 별을 꼭대기로 삼고 좌우로 밝은 별을 차례로 이어내리다가 사진에서 가장 밝은 별 근처에 다다르면 양쪽에서 ...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
과학동아
l
200312
극저온 상태에서도 깨지지 않고 유리나 세라믹 어떤 물질에도 잘 코팅되기 때문에 우주
망원경
처럼 빛의 반사를 최소한으로 해야하는 초정밀 기기에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www.npl.co.uk휴먼게놈 칩기존의 DNA칩에는 인간유전자 중 일부만을 심어놓았지만, 미국 어피메트릭스사가 지난 10월 2일 발표한 ... ...
하늘처녀 옆에 떨어진 밀짚모자
과학동아
l
200311
띠다.모자 챙의 안쪽에는 별들이 커다란 구형으로 밀집돼 있다. 그래서인지 허블우주
망원경
의 고해상도 사진에 나타난 솜브레로은하는 모자라기보다 비행접시와 비슷하다. 어쩌면 페르세포네가 지하세계와 지상을 오갈 때 사용하던 교통수단이 아닐까.또 솜브레로의 중심을 유심히 살펴보면 다른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11
어려운 대상은 아니다. 초보 아마추어라도 충분히 시도해볼 만한 대상이다. 소형 천체
망원경
으로는 나선팔이 둘러진 구체적인 모습은 알기 어렵다. 다만 중심부에 밝은 핵이 존재하고 가장 자리로 매우 어두운 부분이 상당히 넓게 타원형으로 퍼져있다는 점이 눈에 띤다.M33을 관측할 때 가장 중요한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11
타자기에 일부 실용화가 시도되고 있다Edwin Powel Hubble(1889∼1953) 미국의 천문학자 1백인치
망원경
으로 안드로메다 성운중의 세페이드를 발견, 그 거리가 90만 광년이며, 따라서 이 소용돌이 성운이 은하 밖에 있음을 입증했다 1929년 '20세기 천문학의 최대의 발견'이라 칭해지는 '허블의 법칙' 즉 거리와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