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d라이브러리
"
영상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10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이 대표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2차원
영상
이 모두이던 게임 역시 3D로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과연 IT가 열어갈 미래는 어떤 것일까. 급속히 발전하는 기술은 어떤 제품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어떤 생활을 가져다 줄까. 국내외 IT전문가와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10
고개를 돌리면
영상
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양쪽 눈에 서로 다른
영상
을 투영해 입체
영상
을 보여 주는 것도 가능하다.HMD에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쓰면 어떨까. 사용자의 눈에는 실제 주변 환경이 보이며, 여기에 필요에 따라 그래픽을 덧입힐 수 있다. 현실을 배경으로 하는 게임을 즐기면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10
중 감각수용체의 모방감각수용체의 작동 원리를 모방한 기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영상
촬영 장비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렌즈를 통해 모인 빛은 CCD라는, 광전효과를 이용한 센서에 도달해 전기적 신호를 만들어낸다. 이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저장매체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도달한다. ...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10
TV와 3D 영화, 디지털 카메라가 등장하는데 크게 기여한 제이펙(JPEG)이나 엠펙(MPEG)과 같은
영상
압축기술의 발달은 수학자와 공학자의 노력으로 나온 신호압축 기술 덕분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이 사라졌다!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 ...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09
비디오 카드는 단지 화면 출력을 맡았다. 하지만 점차 고해상도(HD) 영화나 게임 3D
영상
에 대한 요구가 늘면서 그래픽 처리는 아예 GPU가 담당하게 됐다.CPU가 명령 하나를 내려 데이터 하나를 처리하는 구조라면 GPU는 명령 하나로 여러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구조다. 예를 들어 컴퓨터 그래픽은 ... ...
손바닥 안의 첨단 기술, 명함
과학동아
l
201009
코드를 이용하면 명함 위에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 증강현실은 실제 환경에
영상
을 합성해 원래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기법이다. 스마트폰으로 코드를 읽으면 명함 위에 명함 주인의 얼굴과 간단한 소개 같은 정보가 스마트폰의 화면에 뜬다. 명함의 2차원적 한계를 넘어 3차원 가상현실로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09
모두
영상
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인터넷으로 세계가 연결된 지금 로봇이 촬영한 전투
영상
을 일반인이 여과 없이 보게 되는 일도 흔하다. 싱어는 “로봇은 전쟁과 대중을 갈라놓는 게 아니라, 둘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이런 변화로 우리가 전쟁에 무감각하게 될지, 전쟁에 대한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09
기술을 썼지만 작업이 불가능한 곳은 서예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그려 넣었다. 이렇게
영상
을 뚜렷하게 바꾼 후 실물 현판 크기로 출력해 오 각자장에게 제공했다. 백 교수는 “5년 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신인 한국문화재연구소를 방문해 유리원판 사진을 스캐닝했던 자료와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09
2차원으로만 세상을 보던 그가 시훈련치료를 하던 어느 날 급작스럽게 3차원 입체
영상
을 보게 됐다. 이 책은 온통 편평하기만 했던 세상에서 한걸음씩 천천히 3차원 세계로 들어갔던 저자의 드라마틱한 여정이 생기발랄하게 펼쳐져 있다.버스트앨버트 바라바시 지음 | 강병남, 김명남 옮김 | ... ...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움직이는 속도가 너무 빠르면 이전의 자극이사라지기 전에 다음 자극이 오게 돼. 그 결과
영상
이 서로 섞이거나 연결돼 보이는 현상이 일어난단다. 이처럼 빛의 자극이 눈에서 금세 사라지지 않고 남는 현상을 ‘잔상’이라고 하지. 이 잔상 때문에 사람의 눈은 사진과 달리 움직이는 물체를 정지된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