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심
주의
한계
범위
감시
국경
통제
d라이브러리
"
경계
"(으)로 총 1,676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지막 날 현실과 통하는 문, 클라인 병 건물로!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안이 밖이고 밖이 안이라고요? 도대체 이건 또 무슨 소리예요?”“뫼비우스 띠가
경계
가 없는 한 면으로 된 도형이라는 것과 비슷해. 뫼비우스 띠처럼 클라인 병도 면이 하나야. 다만 뫼비우스 띠가 3차원 도형이라면 클라인 병은 4차원 도형이지. 4차원 도형이 어떻게 존재하냐고? 클라인 병 ... ...
블랙홀 ‘식성’, 생각보다 까다롭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뿜어져 나오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경계
면의 에너지 흐름을 관찰했다. 편의상 블랙홀
경계
면에 가까운 ‘안쪽 영역’과 별과 먼지가 떠다니는 ‘바깥쪽 영역’을 구분했다.관찰 결과 온도가 높은 안쪽 영역에서 입자들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 여기서 발생한 에너지가 전도를 통해 온도가 비교적 ... ...
팝아트의 아이콘, 앤디 워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사실을 알아냈다.워홀은 새로운 미술의 정의를 내림으로써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의
경계
를 흐렸다. 이에 따라 현대 화가들은 작품을 제작할 때 어떤 주제를 어떤 방법으로 표현할까를 생각하기보다 자기가 원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자유롭게 표현하게 됐다.물론 워홀은 명예와 재력에 대한 관심도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난리다. 갯벌에 수없이 나 있는 구멍 속에서는 작은 농게들이 숨어 이방인의 출현을
경계
하고 있다. 이렇게 섬의 다양한 생물을 만나는 것이야말로 에코투어의 백미가 아닐까.이리오모테 섬은 ‘동양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릴 정도로 이 지역에서만 서식하는 고유종들이 많다. 말라리아 같은 풍토병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다.버선은 벗어 두면 납작한 평면 구조지만 신고 발 을 땅에 디디면 발목과 발등의
경계
부분이 접히면 서 자연스럽게 입체 모양이 된다. 이때 발뒤꿈치 부 분은 신축성 있게 늘어나며 발이 받는 압력을 줄인 다. 당기는 힘의 방향이 옷감의 날실 또는 씨실 방 향과 사선을 이루기 때문이다. 발을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아이슬란드 레이캬네스 계곡을 잇는 다리. 이 계곡은 유라시아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
이다. 두 판이실제로 갈라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수 있다. ©Chris77여섯째 날 10억 년 뒤 인류의 흔적은?여섯째 날, 여우가 나를 데리고 간 곳은 지구 밖 우주였어. 그런데 우주 멀리에서 본 지구는 파란색이 ...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주마!’ 사마귀는 산란 시기가 되면 예민해져요. 사진을 찍으려고 다가가는 모습을 보고
경계
하는 모습이 마치 격투기 대결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요. ❷ 왕잠자리의 우화 과정 (오태윤, 베스트 포토)잠자리가 알, 에벌레, 번데기의 과정을 거치고 드디어 어른 벌레가 되는 순간이에요. 식물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전혀 상대방의 눈에 띄지 않는다. 아귀는 꼼짝 않고 바닥에 웅크리고 앉아 상대방의
경계
심을 누그러뜨린 뒤 먹이사냥을 시작한다. 아귀 등지느러미의 앞 줄기는 길게 늘어져 자유롭게 움직이는 낚싯대처럼 변형돼 있고 그 끝에 달려 있는 부드러운 피막은 낚시 미끼 같은 역할을 한다. 낚싯대를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③ 아이슬란드의 지진 발생 빈도와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④ 확장되지 않는 판의
경계
에서는 어떤 지질 현상이 일어날까? ⑤ 과학자들은 열점이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 지구는 거대한 자석? 우리가 지구에서 관찰할 수 있는 신비로운 현상 중 하나는 지구가 하나의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길을 가던 사람들은 누구든 들어와서 앉아 쉴 수 있다. 마당은 건축과 도시의 연결을
경계
없이 풀어놓는다. 네거리의 한 모퉁이를 차지하고 있는, 구멍이 숭숭 뚫린 이 흰색 상자가 딱딱하고 삭막한 도시에서 부드럽고 편안한 소통의 장치로 역할해주길 바란다.김인철 교수는 홍익대 건축과와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