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복
점령
d라이브러리
"
극복
"(으)로 총 1,80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행성을 촬영할 때는 대부분 별과 행성의 심각한 밝기 차이를
극복
하기 위해 코로나그래프라는 특수 장비로 별빛을 가리고 행성만 찍는다. 도플러 효과로 별의 속도 측정지금까지 외계행성의 90% 이상은 ‘시선속도 측정법’으로 발견했다. 별빛의 스펙트럼을 촬영하는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5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플라즈몬 파는 기존 광학의 회절 한계를
극복
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금속 표면 전자의 도움을 받아 빛이 통과하지 못했던 더 작은 통로까지 지나갈 수 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빛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플라즈몬 광도파로를 이용하면 ... ...
게임 속으로 풍덩~ 내 몸이 게임기가 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앞으로 제한되는 게임 공간은 놀이를 따라가지 못한다.최근에는 이런 공간의 한계를
극복
하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우 교수는 열린 공간 속에서 여러 명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디지털 피지컬 필드 게임(DPFG)’을 개발 중이다. 게임을 하고자 하는 공간을 센서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둘러싸 ... ...
인생의 갈림길, 선택과 책임은 내 몫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학할 고등학교를 정한다. 어떤 장점이 있으며
극복
해야 점은 무엇인지 미리 정보를 탐색해 준비한다. 2. 자신만의 시간 관리법, 공부 관리법에 대한 전략을 짜고 습관을 만든다. 3. 선행학습한 내용을 놓치지 말고 복습해서 머릿속에 정리해둔다. 어느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만일 신경세포에도 문제가 있다면 이용할 수 없다. 신경세포의 문제가 있는 경우 이를
극복
하기 위해 인공 감각수용기를 뇌와 직접 연결하는 방법을 도입한 경우도 있다. 뇌와 기계를 연결하는이러한 기술을 BMI 기술이라 한다().와우(달팽이관)가 손상된 사람을다시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인공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급부상하고 있다. 총리후보와 신임 장관후보 2명이 청문회에서 불거진 ‘과거 허물’을
극복
하지 못하고 사퇴했다.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딸의 석연치 않은 특채가 드러나면서 이틀 만에 사표를 냈다. 대통령 역시 연일 ‘공정한 사회’를 부르짖고 있다. 우리 사회는 지금 ‘정의 열풍’을 앓고 ... ...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메인 메모리가 모두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멀티코어 패러다임이 이러한 문제를
극복
하고 오랫동안 지속될지,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일 같다.방안 2 그래픽 연산장치의 위대한 발견 - 범용그래픽 처리장치(GPGPU)처음부터 코어를 수백 개 이상 갖고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헬륨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은 목소리를 변하게 하는 가스를 떠올린다. 풍선이나 비행선을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헬륨이 IT사회에 없어서는 안 되는 광섬유와 밀접 ... 범지구적인 자원 절약에 동참하는 일이다. 우리나라가 곧 닥쳐 올 헬륨 위기를 현명하게
극복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한국의 도시가 발전해 있는 데 놀랐다”면서 “특히 파리를 능가하는 크기와 인구밀도를
극복
하고 있는 서울의 순환체계나 산-학-연이 긴밀하게 연결된 지방의 연구단지 등은 프랑스도 역할모델로 삼을 만하다”고 평가했다. 반면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다는 조언을 잊지 않았다.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빛을 소멸파(evanecscent wave)라고 부른다.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빛이 회절한계를 절대로
극복
할 수 없다고 생각해왔다. 그러다 20세기 초에 들어 소멸파가 다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갇힌 빛을 꺼내는 방법을 찾았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빛이 머무는 시료의 표면 근처에 나노 크기의 예리한 바늘을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