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로"(으)로 총 2,2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디지털건축연구실 탐방 건축, 예술 작품이 되다!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펼쳐서 도면을 작성하였다.2. 기계를 이용해서 도면대로 부품들을 제작하기완성한 도면대로 레이저 커터를 이용해 잘랐다. 전개도에는 3~4개의 선이 이어져 있는데, 우리가 보기에는 일직선이지만 컴퓨터는 각각을 다른 선으로 인식한다. 레이저가 선을 여러 개로 나눠서 한 번에 하나씩 자르는 것을 ... ...
- 홈스테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아, 그냥 위에서 편안하게 수술 받을걸. 죽는 줄 알았네, 진짜.”다음날 나는 계획대로 무사히 눈을 떴다. 세상이 엄청 밝아 보일 줄 알았는데, 안경을 썼을 때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실망한 내색은 할 수가 없었다. 희나 때문이었다.“…… 네 말 덕분에 평화유지군 감시단이 움직였거든. ... ...
- [수학뉴스] 수학을 잘해야 영어도 잘한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진행했다. 24개의 도형을 8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언뜻 보기에는 잘 드러나지 않는 규칙대로 도형이 한 개씩 지나가는 동영상을 이 학생들에게 10분 동안 보여 주었다. 연구팀은 학생들이 동영상을 보고 도형의 규칙을 얼마나 알아채는지 32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이 학생들에게 1학기와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년 07호
- MON71800은 봄밀인데 이번 GM 밀은 겨울밀이라는 점도 반박 근거다.미국 농무부는 가능한대로 신속히 공식 검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어쩌면 이번 사건은 과학적으로 미궁에 빠질 수 있다. 2006년 8월 미국 농무부는 바이엘이 시험재배중인 GM 쌀(LLRice 601)이 보통의 쌀에 섞여 있다는 사실을 밝혀 ... ...
-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3년 06호
- 했던 일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은 유대인을 닥치는 대로 학살했다. 이에 슈와르츠도 어쩔 수 없이 가족들과 함께 남부 프랑스로 도망칠 수밖에 없었다. 슈와르츠는 이처럼 전쟁의 참혹한 실상을 몸소 체험했기 때문에, 신변의 위협에도 소신을 굽히지 않고 전쟁을 ... ...
- 3000℃에서 녹아내린 아이언맨의 새 슈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원작 만화에서 아이언맨 슈트는 ‘악당의 능력’과 비례해 발전해 왔다. 전자기력을 마음대로 조절하는 아이언맨 최대 적, ‘매그니토’에 대항해 탄소나노튜브 아이언맨이 탄생했다. 레이더에 걸리지 않고 침투하기 위해 ‘스텔스’ 기능을 추가했다. 그런데 이번만은 예외다. 가장 강력한 적이 ... ...
- 새벽기차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않았다. 그것을 발견하자마자 나는 그의 우주를 부수고, 남은 것이 없는 그의 운명을 마음대로 할 생각이었다.하지만 그는 그러지 않았다.“ .”대신 내 이름을 불렀다.나는 그 사람이 내 이름을 알리라고는 생각도 해 본 적이 없었다. 어디에서 들었을까. 혹여 기차에 타기 전의 나를 알고 있었을까. ... ...
-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것은 비교적 쉽다. 가장 어려운 것은 물처럼 특정 형태가 없는 물체가 제작자가 원하는 대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것이다. 물이나 연기같은 유체가 사람 얼굴 형태를 자연스럽게 만드는 것을 보면 관객은 스크린을 넘어 혼란을 느끼게 된다.현실 물체의 밀도나 부피 등 물리적 특징에 기반해 실제 ... ...
-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을 대신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이길지 몰라.로봇은 곧 사람이다!로봇은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사실은 사람을 그대로 흉내 내는 거래. 가위바위보도 사람이 하는 행동을 잘 알고 이해해야만 로봇이 따라할 수 있거든. 사람을 잘 알수록 그만큼 로봇도 더 잘 만들 수 있대. 로봇 기술의 핵심은 ‘사람’이라는 사실!전극 3개로 ... ...
- 해커와 대결하라! 암호수학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더한 뒤 다시 암호화 한 값과 같다. 이 때문에, 암호를 풀지 않고도 원래 정보를 원하는 대로 조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메시지를 유추하는 과정을 통해 나누는 수를 알아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편지를 보낼 때 말머리에 보통 ‘OO에게’라고 쓴다는 것은 누구나 예측할 수 있다.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