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꾸준히 인간형 로봇이 나오고 있다. 이곳에서 개발된 ‘WF-4’ 는 키 2
백
50cm에 몸무게가 1
백
kg이나 나가며 플루트를 연주한다. ‘로비수케’ (ROBISUKE)는 인간과 대화하는 로봇으로 얼굴과 목소리, 행동을 인식하는 눈을 갖고 있고 자연스럽게 팔까지 흔들며 이야기를 나눈다. 여러 사람과 함께 대화할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역시 한계가 있다. 어떤 것도 화석연료와 양자택일할만하지 않다.21세기 에너지 소비 4
백
% 증가그렇다면 다른 후보는 없을까?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핵융합개발사업단의 한정훈 박사는 “핵융합뿐”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내가 핵융합 연구를 해서 이렇게 말하는 건 아니다”고 덧붙였다.한 ... ...
에어버스 보잉 차세대 여객기 격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따라서 보잉은 향후 20년간 세계 항공사들이 B7E7을 3천5
백
대 이상 구입하는 반면 A380은 싱가포르와 런던을 잇는 노선처럼 승객의 이용량이 많은 노선에만 사용돼 점차 그 수가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B7E7이 항공기 시장에서 살아남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소리가 최대 음압을 갖는 방향은 음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멍(지공)이 뚫려있는 위쪽(80-1
백
°)방향이다. 결과적으로 대금 소리는 앞쪽과 위쪽으로 더 잘 전달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전통 국악의 정수 판소리와 창도 독특한 음향 성질을 드러냈다. 몸짓과 노래, 말을 섞어가며 엮어나가는 판소리는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통각수용체는 2
백
개 정도로 상당히 촘촘하게 분포해있다.촉각신경은 통각신경보다 1
백
배 정도 굵다. 통각신경의 전달 속도를 촉각신경처럼 빠르게 하기 위해 통각신경을 굵게 만든다고 가정해보자. 넓적다리에 있는 연필 굵기 정도의 좌골신경다발은 넓적다리만큼 굵어질 것이고, 넓적다리는 ... ...
태양탐사선 캡슐, 추락 불구 상태 양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년반 동안 채집한 태양풍 입자들이 들어있는데 그 양이 고작 1g에도 미치지 못한다. 시속 3
백
20km의 속도로 모래땅에 추락한 캡슐의 파손이 심할 경우에는 시료를 하나도 건지지 못할 수도 있다. 다음날 부랴부랴 캡슐을 회수해간 NASA의 연구자들은 핀셋으로 조심스럽게 캡슐 내용물을 모아 상태를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추측하고 있으나 아직 완전히 규명하지는 못한 상태다.찬드라 망원경은 근지점 9천9
백
km, 원지점 13만9천km의 타원궤도로 지구를 공전하고 있다. 원지점일 때는 지구와 달까지 거리의 3분의 1에 이른다. 찬드라는 앞으로 5년간 더 궤도에 머물면서 블랙홀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물론 암흑물질과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을 만들어 재생에너지 육성에 나섰다. 그러나 지난해까지 정부가 투자한 돈은 1천8
백
억원으로, 일본의 한 해 투자비보다 못하다.석유 위기가 지나가면 언제 그랬냐는 듯 재생에너지에 대한 열기가 식었다. 한 예로 90년대 초중반 인기를 모았던 태양열 온수장치는 외환위기 이후 관련회사들이 부도가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빠른 강한 바람. 대류권 상층이나 성층권에서 불며 길이가 수천km, 폭이 수
백
km, 높이가 수
백
m에 달한다. 풍속의 변화가 심하고 많은 양의 열과 수증기를 이동시킨다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중국인들까지) 등이 사용했다는 증거를 보여준다.서양에서 제대로 된 지도의 역사는 5
백
년도 되지 않는다. 그런데 한국으로 추정되는 지명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1571년 두라도의 지도에 ‘꼼라이’(comrai)라는 지명이 나타나면서부터다. 1595년에는 반 랑그렌의 동인도지도에 한국이 둥근 섬으로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