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d라이브러리
"
부피
"(으)로 총 1,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부피
에 비례한다. △r≪r이면 구의 표면적에 두께를 곱해 근사적으로 구껍질의
부피
4πr2△r를 구할 수 있다. 구껍질의 광도 =(별의 개수)∝(구껍질의
부피
) =4πr2△r∝r2 지구에서 관찰되는 구껍질의 밝기는 광원에서 나온 빛이 공간에 퍼지는 형태에 따라 에 비례한다. 구껍질의 밝기 =(구껍질의 광도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않지만 부리를 벌렸다 오므리는 행동을 반복하면 물방울이 이동할 수 있다. 물방울의
부피
가 일정하므로 부리 끝을 벌리면 자연스레 부리와 물방울이 접촉하는 면적이 줄어드는데, 부리 끝 쪽에 있는 물 표면이 안으로 이동하면 물과 부리의 접촉 면적이 줄어드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용해되는 산소의
부피
도 1/5배 줄어들어 0℃, 3기압에서 물 100g에 용해될 수 있는 산소의
부피
는 3mL이다.2) 산소가 0°C, 1기압에서 물 100g에는 0.335g이 녹으므로, 물 200g에는 0.335g×2=0.67g이 녹는다. 기체의 용해도는 압력에 비례하므로 압력을 1기압에서 5기압으로 증가시키면 용해도도 5배 증가 ...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과일은 꽃이 핀 뒤 2달이면 세포 수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이때부터는 세포의
부피
가 커진다. 그래서 과일을 크게 만들려면 미리 세포 수를 늘려야 한다.경기도농업기술원 박건환 연구사는 “당도도 높고 크기도 큰 과일을 만들려면 꽃이 핀 뒤 꽃의 수를 적당히 줄이거나 한 가지에 열리는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위해 그림 (가)와 같은 장치를 한 뒤 30°C의 항온기에 넣어 두고 시험관 내 기체의
부피
변화를 조사했다. 그림 (나)는 시간에 따른 유리관의 잉크 이동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1) 시험관 A, B, C의 잉크 이동거리가 각각 다른 이유를 설명하라. 2) 흡수된 산소(O2)량에 대한 방출된 이산화탄소(CO2)량의 비를 ... ...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않는 단열변화가 일어나므로 이상기체의 경우 PVγ=k(상수)와 같은 단열변화 식을 따른다.
부피
에 대해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소리의 속력은 압력과 상관없이 온도와 기체의 평균분자량에 따라 달라진다. 2) 지표에서 약 100km까지인 균질권에서는 상층부로 올라갈수록 공기의 압력과 밀도는 감소하나 ... ...
[지구과학]암석의 변성작용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물이 될 때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양보다 크기 때문에 전체적인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부피
변화에 따른 엔트로피 변화는 음의 값을 가지므로 dP/dT=△S/△V<0이다. 가로축을 온도, 세로축을 압력으로 그린 상평형도에서 현무암질 마그마의 용융 곡선과 화강암의 용융 곡선은 반대 부호의 기울기를 ... ...
스스로 배열하는 ‘똑똑한’ 분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분자는 모양뿐 아니라 실제로 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한다. 나선형초분자는 냉각시키면
부피
가 줄며 수축하고 가열하면 다시 팽창한다. 이 교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혈관을 타고 움직이는 나노기계나 약물 운송체가 혈관 벽에 부딪힐 때 받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데 나노스프링을 사용할 수 ... ...
[물리]유체의 운동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용기의 벽까지 세기가 감소되지 않고 전달된다’는 원리를 발견했다. 압력이 변할 때
부피
가 바뀐다는 점만 고려하면 파스칼의 원리는 기체에도 적용된다. 힘 F와 면적 A에 작용하는 압력 P 사이에는 F=PXA와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라) 점성이 없는 이상유체는 운동 중에도 접선변형력이 항상 0이다. ... ...
바람 잡아 초고층 건물 보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만들 수도 있다. 물을 사용하면 철을 사용했을 때보다 비용이 줄지만 대신 제진장치의
부피
가 커진다.건물의 진동을 센서로 파악해 진동이 생기면 반대방향으로 건물에 힘을 줘 진동을 줄이는 방법도 가능하다. 버스에서 넘어지려는 쪽의 다리에 힘을 주고 몸을 반대로 기울여 균형을 잡는 것과 같은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