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산과의"(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힌두교 신화와 부처의 가르침이 함께 살아 숨 쉬는 신비의 땅 캄보디아에는 1000년의 세월을 버텨온 앙코르 시대의 유적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앙코르 와트를 비롯해 앙코르 톰, 타 프롬, 반테이 스레이 등 유적 1000여 개가 수백 km에 걸쳐 흩어져 있지요.해마다 300만 명 이상의 ... ...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어느 날 저녁 작은 바에 들렀습니다. 스피커에선 '고엽(Autumn Leaves)'이라는 샹송이 흘러나오고, 벽에는 멋진 에펠탑 사진이 걸려 있네요. 제가 좋아하는 여배우 샤를로뜨 갱스부르의 젊은 시절 사진도 있고요. 웨이터가 다가와 와인을 묻는데 나도 모르게 비싼 프랑스 와인을 선택하고 말았습니다. 도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현실이란 게 뭔가? 현실을 어떻게 정의할 텐가? 당신이 보고 느끼고 냄새 맡고 맛보는 데서 오는 전기신호를 뇌가 해석한 것, 그게 바로 현실이다.” -영화 ‘매트릭스(1999)’ 中 모피어스(로런스 피시번)의 대사우리 뇌에는 촉각을 느끼는 ‘감각영역’이 있다. 꼬집으면 신경을 타고 전기화학적 ... ...
- 개구리가 추운 경칩에 깨어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3월 6일은 경칩이에요. 경칩은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로, 동지로부터 74일째 되는 날이지요. 하지만 3월 초는 아직 추위가 한창이에요. 밤에는 영하로 기온이 떨어지고, 높은 산 곳곳에는 아직 흰 눈이 쌓여 있지요. 놀랍게도 이렇게 추운 경칩에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한국산개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안녕? 내 이름은 ‘양초’ 할 때 ‘초’, ‘그림’ 할 때 ‘림’, 오초림이야. 3년 전 교통사고로 혼수상태에 빠졌었어. 194일 만에 일어나니 냄새를 코로 맡지 않고 눈으로 보게 됐지. 난 극단 ‘개구리’에서 일해. 유명 개그우먼이 되는 게 꿈이거든. 내일 개그 품평회가 있어서 만담 연습을 해야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심장은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작은 충격에도 심장의 건강을 걱정한다. 최근에는 ‘심쿵 주의’나 ‘심멎 주의’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다. 심장이 쿵할 정도로 놀랍거나, 심장이 멎을 만큼 아름다운 상황을 만났을 때 조심하라는(?) 뜻이다. 농담처럼 이야기했지만, 심장은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지난 21세기 ‘화성 이주’는 상상에 그쳤다. 자급자족이 가능한 화성정착지를 만들겠다는 계획은 시간만 끌다 흐지부지 사라졌다. 화성에 우주인을 보내는 일까진 성공했지만, 인간이 화성에서 일상적으로 살 수 있을 거라 믿는 사람은 없었다.전쟁과 환경오염으로 지구가 걷잡을 수 없이 망가진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피이~’ 높고 날카로운 소리가 해변을 울렸다. 소리가 나는 쪽으로 급히 망원경을 돌렸다. 맨눈으로 잘 보이진 않지만 화면 속에 검은 얼룩과 이상하리만치 길고 붉은 부리가 보인다. 검은 머리와 흰 배가 마치 턱시도를 입은 듯 하다해서 ‘갯벌 위의 신사’라는 별칭을 가진 검은머리물떼새다.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온도의 기준점에 대해서 흥미로운 제안이 많았다. 버터가 녹는점이나, 가장 더운 여름날의 기온, 프랑스 파리의 관측소 지하실의 온도 등이 있었다. 심지어 손을 넣고 견딜 수 있는 가장 뜨거운 물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자는 엽기적인 주장도 있었다.위대한 뉴턴조차 시시각각 달라지는 사람의 혈액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羊乳根 양유근(양 양, 젖 유, 뿌리 근)한약재에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른 한자 이름을 쓰는 경우가 많다. 그 중 양유근(羊乳根)은 더덕의 뿌리를 지칭하는 단어다.더덕 줄기나 뿌리를 자르면 우유나 양젖 같은 흰 액체가 나온다. 그래서 약재로 사용하는 더덕 뿌리를 ‘양젖 같은 흰 액체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