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꽃술
오퍼레이션
절단
인공임신중절수술
인공
임신중절
웅예
d라이브러리
"
수술
"(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그 주변 조직들이 포함돼 있다. 그렇지만 내측두엽을 떼어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수술
전 기억을 모두 회상해냈다. 내측두엽이 장기기억을 저장하는 장소는 아닌 것이다.그럼 오랫동안 기억할 내용이 저장되는 곳을 어디일까. 바로 대뇌피질이다. 내측두엽으로 들어온 서술정보는 해마와 그 주변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것.이런 설명은 사고로 인해 해마를 떼어낸 사람이
수술
전의 일은 모두 기억하지만
수술
후에는 한시간 전의 일도 기억하지 못하는 임상기록에서 잘 알 수 있다. 즉 신피질에 기억된 장기기억은 떠올릴 수 있지만 해마가 없으므로 새로운 장기기억은 형성할 수 없게 된 것이다.치매약은 밤에 듣지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파괴하는 방법이 있다 이런 방법들이 효과가 없을 때 마지막으로 선택하는 것은 신경을
수술
적으로 절단하는 방법이다복강신경총은 요추 1번 양쪽에 있는 신경 덩어리다 이를 국소마취제로 차단하면 대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그 시간이 짧아 알코올을 투여해 파괴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다 우선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용해 치매나 파킨슨씨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거나 유방성형
수술
을 하는 것은 5년 내에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반인들이 줄기세포의 위력을 맛볼 날도 머지 않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세계 최초 치료용 복제 성공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2. "10년 뒤 노벨상 ... ...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인한 정신질환의 치료제 개발이다. 불과 수십년 전만 하더라도 정신치료에는 대부분
수술
이나 심리치료 방법을 사용했다. 이런 정신질환의 원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우울증의 원인을 영적인 것에서 찾기도 했고 정신질환이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에 대한 논쟁도 많았다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해서 그 부위와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신체 부위들을 고려하지 않고 그 부위만 도려내는
수술
은 너무나 초보적이고 단순한 치료법이었던 것이다.이처럼 서양의 사고에서는 사물 자체가 관심거리이지만, 동양의 사고에서는 사물들 간의 관계가 주목의 대상이 된다. 사물은 언어의 명사로 표현되고 ... ...
백신으로 암재발 막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백신은 한달 간격으로 모두 6차례 주사됐는데, 백신을 맞은 환자는 면역체계가 활성화돼
수술
부위에서 암이 다시 자라거나 퍼지지 못하게 한다. 연구자들은 “신장암은 전이 확률이 50%에 이르나 화학요법이나 방사능요법과 병행할 마땅한 치료법이 없었다”며 “암백신은 환자 자신의 암세포를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얼굴의 전체적인 조화와 균형이 더 중요하다” 고 말한다. 또 성형
수술
은 성장이 끝난 18세 이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몸짱이 되기 위해서 운동에 땀흘리는 사람이 늘고 있다. 운동을 꾸준히 하면 건강하게 젊음을 유지할 수 있고,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등 각종 성인병을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세포질과의 생리적 기능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행해진다 아메바 개구리알 등에서는 세포
수술
에 의하여 직접 핵을 다른 종의 것과 바꿔칠 수 있다 이것을 특히 핵이식이라고 한다동물의 몸에서 전후축을 따라 반복해서 배열하는 분절(分節)적은 입체구조의 단위 이와 같은 구조 안에는 하나의 기관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마치 문자에 중독된 사람처럼 글을 탐하던 권 교수는 결국 두눈에 이상이 생겨 얼마전
수술
까지 받았다. 하지만 과학의 발전이 다시 두눈을 멀쩡하게 돌려놓았기 때문에 개의치 않는다고 한다. 지금도 자신의 홈페이지를 찾은 사람들이 게시판에 남긴 글에 직접 일일이 답글을 단다.그의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