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김치와 된장처럼 복합 미생물이 존재하는 음식이 유난히 많다”며 “이런 음식들을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복합 배양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이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읽을거리Whole-genome de novo sequencing, combined with RNASeq analysis,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세기에 걸친 진화생물학 역사를 통틀어 그 어떤 학자도 생각하지 못한 경이로운 등식이었다.1968년 9월, 프라이스는 미국에 있는 어머니에게 편지를 보냈다. 『아주 놀랍고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일이 한 시간 전쯤에 저에게 일어났습니다. 수리 유전학과 진화에 대한 논문을 쓰던 중에 대단히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신경망의 작용으로 무의식적인 순간에 발동되기도 하고, 외부 자극의 미세한 차이를 인식해 변하기도 한다.장소세포를 처음 발견한 지 46년이 됐다. 하지만 아직도 다른 네 종류의 내비게이션 세포들과의 정확한 상호작용 과정은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는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상호작용에 대한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지점 A에서는 전자가 디랙 입자처럼 행동하고, 지점 B에서는 보통의 전자처럼 행동하는 식이다. 보통의 물질은 파동벡터 공간 어디에서도 전자가 디랙 입자처럼 거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응집물질물리학자들은 대칭성을 이론적으로 고려해 디랙 입자처럼 움직이는 전자가 어떤 물질의 파동벡터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없었지만, 1주일, 2주일이 지나는 동안 내가 또다시 비가 내리는 것을 정확히 맞히자, 형식적인 내용의 알맹이 없는 답변이라도 답변을 보내기 시작했다.그 후에도 나는 꾸준히 글을 올려서 둑을 쌓아 달라고 거듭 요청했다.“지금까지보다 훨씬 더 심각한 폭우가 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드시 ... ...
- 수학으로 흑역사 지우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중 임의의 두 이미지 사이의 유사도를 나타낸 행렬이다.S* × VR = VR 비주얼랭크 VR은 위의 식을 만족하는 값이다. 그리고 S*와 VR을 반복적으로 곱하면 우세한 값을 가지는 고유벡터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비슷한 이미지데이터를 덩어리 채로 찾아 모은다. 그리고 이미지 간의 유사성을 점과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 4화 엄마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달려 있었다. 그 자는 자물쇠를 들고 중얼거렸다.“이놈의 자물쇠는 왜 이딴 식으로 프로그래밍을 해 가지고…. 자, 마고를 변환하면….”그 자가 문을 열고 들어가 버리면 기회가 없을 것 같았다. 발을 동동 구르던 하림의 눈에 남자가 옆구리에 차고 있는 전기충격봉이 눈에 들어왔다. 하림은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달라진 저항 값으로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저항이 10Ω(옴)일 때 0, 20Ω일 때 1과 같은 식으로 정보를 저장한다. 저항을 더 여러 개로 변화시킬 수 있으면 그만큼 정보를 많이 저장할 수 있다. 장 교수는 저항을 네 단계로 변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즉, 하나의 비트(bit)에 0, 1, 2, 3, 네 개의 수를 ... ...
- Part 5. 복원 털매머드 되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관찰하겠다고 밝혔어요. 털매머드의 유전자뿐만 아니라 빙하기에 적응한 삶의 방식까지 모두 복원하겠다는 계획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매머드 멸종의 비밀을 찾아라!Part 1. 매머드 코끼리다? 아니다? 정체를 밝혀라!Part 2. 빙하기 땅이 꽁꽁 얼면 동물이 커진다?Part 3. 기후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소프트로봇 기술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려면 사람들이 로봇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며 “이 논문이 좋은 예”라고 밝혔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도 “학계에서 거의 다루지 않는 설계시 신뢰도와, 상용화를 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요소에 대한 논의를 제공했다는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