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세계"(으)로 총 6,7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번 호주 산불은 많은 생명들의 목숨을 앗아갔어요. 나무들은 불에 탔고, 숲에 사는 동물들은 꼼짝없이 뜨거운 불구덩이 속에 갇혔지요. 산불로 인해 망가진 자연이 다시 예전처럼 돌아올 수 있을까요? 지난 1월 11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주에는 2200kg의 ‘당근 비’가 내렸어요. 뉴사우스웨일스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웅하(‘우웅이 하이’라는 뜻)! 반갑소! 오늘도 재미있는 과학 영상을 보여드리겠소!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의 ‘어과동 TV’에선 매일 재미있고 신선한(?) 과학 영상이 업데이트 되고 있소! 많이 놀러와서 함께 과학 영상을 구경했으면 좋겠소! ▶ 페트병 안에서 달걀을 부화시킨다? 조회수 ... ...
- [그래도지구는돈당 기호2 김교수] 과학기술 전문가를 국회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는 정치신인 영입에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군인, 운동선수, 소방관 등 각계 전문가를 영입해 그들의 지식을 토대로 전문성 있는 정책을 다루겠다는 취지다. 여야를 막론하고 비례대표 후보 중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는 소수다. 과학기술의 경쟁력이 국가의 경쟁력이라는 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4화. 방정식의 근과 대칭은 무슨 사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5차 이상의 방정식에선 근의 공식이 없다’라는 말을 들어보셨죠? 19세기 두 비운의 수학자닐스 헨리크 아벨과 에바리스트 갈루아가 밝힌 사실입니다. 이들의 연구는 군론의 토대가 되었는데요, 오늘은 군론과 방정식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방정식은 어떤 미지수 ... ...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시민과학프로젝트는 과학자가 아닌 대중이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과학자의 연구에 참여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시민이 참여하는 연구는 과학의 최첨단에서 떨어져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오늘 소개할 ‘그래비티 스파이’는 201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에 ... ...
- [Go! Go! 고고학자] 마룻바닥 밑에서 도굴품이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1964년 5월, 대구의 전기기술자 백승원 씨는 군부대에서 쓰고 있는 일본식 가옥의 전기 공사를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어요. 그런데 공사를 하려고 마룻바닥을 뜯어내자, 아래에서 나무 상자 수십 개가 나오지 않겠어요? 상자에 든 것은 기와부터 도자기 등 130점에 이르는 한반도 유물들! 이 유물은 ...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식용 곤충 “한 번 먹어 보세요. 고소하고 맛있어요.”1월 31일 전북 완주군에 있는 국립농업과학원. 방혜선 곤충산업과 과장이 태연하게 갈색거저리 유충을 입에 넣어 씹어 먹더니 기자에게도 맛을 보라고 권했다. 평소 ‘못 먹는 것 빼고 다 먹는’ 기자였지만, 형태가 그대로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대학원생은 전공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이면서 동시에 정부의 연구과제 등에 참여하는 연구원이다. 석사과정 4만5099명과 박사과정 2만9052명의 대학원생들이 전국 각지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2018년 기준). 국내 전체 과학기술인력의 14.4%를 차지하는 이들은 가가 필요로 하는 고급 이공계 인력 ... ...
- 미사일·어뢰·드론 3대 위협 청해부대 호르무즈해협 파병 안전진단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호르무즈해협 군함 기술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1년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된 선원 21명을 구출한 ‘아덴만의 영웅’ 청해부대가 1월 21일부터 아라비아반도와 이란을 가르는 호르무즈해협 너머까지 작전 해협을 넓혔다. 호르무즈해협은 미군과 이란군이 맞서 ... ...
-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 "수학교육의 목표는 깊고 넓게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것"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수학교육에 이토록 열의가 높은 나라는 세계 어디에서도 찾기 어렵다. 그런데 정작 수학을 불편하게 느끼는 학생이 많은 건 왜 그럴까?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를 만나 한국 수학교육이 직면한 문제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특징이 있다면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