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의적 연구, 즐거운 성취감!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탐구활동이 끝난 후에는 학생들의 실험보고서에 예외없이 선생님의 빨간펜이 날아든다.
지적
받은 내용을 반영해 다시 실험을 하고 보고서를 쓰다 보면 처음에는 2장 남짓이었던 보고서는 어느새 2장을 훌쩍 넘겨 알차고 수준 높은 보고서가 된다. 교내 창의력 산출물 대회를 휩쓸다 아트 사이언스반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중에는 내용보다 과정에 대한 오류를
지적
합니다. 활동 중에 연구 내용에 대한 오류를
지적
하면 학생은 창의성을 잃고, 스스로 생각하기보다 지도 교사에게 의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활동을 할 때는 과감하게, 학생의 연구활동에 대한 긍정적 신호를 주고 활동을 하도록 합니다. 그 뒤에 학생이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논문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합니다.일부에서는 서울대 공대생의 자퇴 비율이 높다고
지적
합니다. 이 문제는 학교와 사회가 함께 풀어야 합니다. 자퇴생의 대부분은 법학이나 의학을 전공하려고 합니다. 그쪽이 지금은 직업의 안정성도 좋고 소득도 높지요. 하지만 이공계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와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이 받을 수 있는 종합의견의 예 ‘책임감이 강하고 빈틈이 없으며
지적
탐구심이 강해 모든 교과 성적이 우수하며, 학교에서 정한 규칙을 잘 준수함. 넓은 포용력을 갖고 친구를 대하는 모범적인 학생이지만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는 마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힘들어 하는 ... ...
법도 좋아 ! 만화는 더 좋아! 이영욱 변호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권리를 찾아 주는 거죠. 사법연수원과 대학원에서
지적
재산권을 전공했어요. 블로그에
지적
재산권과 관련된 판례도 정리해 올리고 있답니다. 만화가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해요준비된 만화가!언제 처음 만화를 시작하셨나요?어렸을 때부터 그림 그리는 걸 좋아했어요. 만화나 동화책을 보다 마음에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뇌 기능, 특히 주의력과 집중력에 필요한 필수미량영양소가 충분치 않다는 점을
지적
했어요. 또한 ADHD와연관이 있는 색소와 첨가제가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이 많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답니다.미래의 요리는 우리가 주인공!내가 지금 먹고 있는 요리가 미래 내 자손들의 유전자를 바꿀 수도 있다는 ... ...
강정수·이연희 교수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여성 비율은 20% 정도인데 책임연 구급이 되면 여성의 비율은 1~2%로 낮아진다”고
지적
했다. 의사결정을 할 수있는 직급에서 여성 비율이 높아야 젊은 여성 연구원들이 비전을 갖게 된다는 말이다.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여성 과학기술인을 발굴하기 위해 2001년 제정된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은 ... ...
구제적인 목표가 열정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보는 것이 좋다. 특히 다큐멘터리는 쉽게 볼 수 있으면서 사실에 바탕하고 있기 때문에
지적
욕구도 충족시킬 수 있다. 이런 간접경험이 쌓이면 교과 공부에도 도움이 된다. “책이나 다큐멘터리에서 얻은 상식이 앞으로 공부에도 도움이 돼. 여러 분야의 책을 읽으면 지식이 여러 분야에 흩어져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밖의 요인으로 뇌가 손상돼도 치매 발병이 안 되거나 늦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인
지적
비축(cognitive reserve)’이라고 한다. 마치 큰 비에 똑같은 1t의 흙이 쓸려 내려가도 나지막한 산은 산세가 변하지만 태산은 별 영향을 받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따라서 뇌의 입장에서 어린이가 어른으로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발표하지 않아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언론플레이’, ‘또 정치권을 이용했다’는
지적
도 많다.코요테는 개의 친척이다. 하지만 늑대와 100만 년 전에 갈라졌으니 셋은 의외로 먼 사이다. 개에 대해서도 잘 모르는 인간이 유전자를 좌지우지할 수 있을 만큼 코요테를 이해하고 있을까. 혹은 몰라도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