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라스틱
플래스틱
합성수지
플라스틱 제품
푸라스틱
plastic
d라이브러리
"
플라스틱
"(으)로 총 1,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넣는 기구는 ‘풍선 카테터’라고 부른다. 식염수가 들어 있는 커다란 주사기에 기다란
플라스틱
빨대가 연결돼 있고 그 끝에 가는 대롱처럼 생긴 철선이 이어진다. 철선 끝에는 풍선이 달려 있는데, 평소에는 말려 접혀 있다가 주사기 피스톤을 천천히 누르면 풍선 안으로 식염수가 이동하면서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역삼투에 필요한 고압을 견디기 위해 베셀은 강도가 높으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신소재
플라스틱
으로 제작했다”고 덧붙였다. 사업단은 적은 수의 베셀로도 대용량의 바닷물을 거를 수 있도록 베셀과 막의 지름을 늘리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또한 해수의 이온과 미생물이 막에 들러붙어 막을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그냥도 마시고 수시로 커피에 타고 밥 먹을 때도 항상 우유가 옆에 있다. 집에서 직접 짜
플라스틱
통에 담아 갖고 나온 듯한 우유를 길가에서 들고 파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우유는 대부분 멸균되지 않아 외부 사람들이 사 마시면 바로 배탈이 날 수 있다고 한다.케냐에서 생산되는 총 ... ...
어렵고 재미없는 과학실험은 가라!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만들고, 동그란 스티로폼 공 4개를 끼워 바퀴를 만든다. 차에 달려 있는 노즐은 속이 빈
플라스틱
막대로 한쪽에는 마개가 끼워져 있다. 그 반대 방향에 풍선을 끼우면 바람으로 가는 차가 드디어 완성된다. 예쁜 장난감을 만들어 친구들과 누가 만든 자동차가 더 멀리 더 빨리 가는지 경주를 할 수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 아저씨가 느닷없이 질문을 던졌다. “텐트를 고정할 때 쓰는 펙(peg)이죠.” 펙은
플라스틱
이나 나무, 철이나 두랄루민 같은 금속으로 만들며, 용도에 따라 길이가 15~60cm까지 다양하다.지반이 단단한 곳에서는 길이가 짧은 펙으로 충분하지만 진흙처럼 지반이 약한 곳에서는 길이가 긴 펙을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낚시를 드리우고 들었다 놓았다 하는 ‘고패질’을 시작한다. 오징어낚시에는 형광
플라스틱
으로 만들어진 가짜 미끼를 쓴다. 인공적으로 만든 이 미끼가 집어등 빛을 반사해 번쩍이면 호기심 많은 오징어가 이를 건드리다 수십 개의 바늘이 박혀 있는 낚시에 몸이 꿰여 올라오게 된다.조선 후기의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낮은 공기가 부피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단열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발포
플라스틱
은 화재에 취약하다는 결정적인 약점이 있다.그런데 에어로젤(aerogel)이라는 신소재가 등장해 단열재의 혁명을 예고하고 있다. 에어로젤은 일종의 유리 거품으로 두께 10nm(나노미터, 1nm=10^-9m)의 실리카 ... ...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대기권에 진입하는 동안 2800°C까지 온도가 오르는 사령 모듈의 아랫면에는 벌집 모양의
플라스틱
셀 40만 개를 수작업으로 붙여 마찰열에서 우주인을 보호하도록 했다.달 착륙선의 개발은 더욱 난제였다. 착륙선의 외형은 중량을 줄이기 위해 고심을 거듭할 때마다 바뀌었다. 결국 착륙선에는 낮은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CRaTER)를 LRO에 탑재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사람의 피부와 비슷한 성질을 지닌 일종의
플라스틱
에 흡수된 방사선량을 측정해 미래에 달 우주인이 방사선에서 안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달에서 사람이 살기 위해선 해결해야 할 문제가 또 있다. 바로 먼지다. 실제로 아폴로 ... ...
공룡 화석 발굴 키트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부술 때는 깨뜨리고 싶은 부분에 끌을 대고 그 뒷부분을 망치로 두드린다. 공룡 화석은
플라스틱
이기 때문에 무리하게 힘을 주면 부서질 수 있다. 화석이 어느 순간에 어디서부터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조심조심 깨뜨리는 재미가 쏠쏠하다.화석이 드러나기 시작하면 뼈만 깨끗하게 남도록 붓으로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