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귓바퀴
귀퉁이
모퉁이
귀구멍
귓구멍
거북선
뉴스
"
귀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 쥐도 사람 가린다?!
과학동아
l
2014.04.29
그리머스 스케일(Mouse Grimace Scale)’ 방식이 사용됐다. 주사를 맞은 실험쥐의 눈 크기나
귀
모양 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5가지 항목에 따라 체크하는 방식이다. 그 결과 연구자가 여성일 때보다 남성일 때 실험쥐가 통증을 40% 가량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입던 티셔츠를 연구실 안에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예상대로 둥지입구가 터널형이라 탁란을 모르고 지내는 흰털발제비(덴마크)와
귀
제비(중국)의 경우 각각 10회와 26회 모두 뻐꾸기 알을 알아보지 못했다. 인가에 둥지를 틀어 역시 탁란 피해가 거의 없는 제비의 경우도 세 곳 모두(덴마크 10회, 노르웨이 2회, 영국 8회) 뻐꾸기 알이 있는지 몰랐다. ... ...
한우 혈통,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안다
과학동아
l
2014.04.14
14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한우농가에서 인공수정을 할 때 정액 번호, 암소
귀
표번호 등을 수기로 작성한 뒤 다시 전산입력을 해야 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혈통정보를 잘못 입력하는 일이 많다는 것. 이럴 경우 추가비용을 들여 친자감정 유전자 검사를 별도로 해야 해 시간적·경제적 ... ...
[총장, 대학을 바꾼다]여대 프리미엄 더한 공과대 신설, 교육역량 강화해 경쟁력 갖춘다
동아일보
l
2014.03.27
완전히 뒤엎을 만한 여대 프리미엄을 가진 새로운 개념의 학과를 구상 중”이라고
귀
띔했다. 숙명여대는 국내 대학 최초로 대규모 온라인 공개 강의인 MOOC캠퍼스를 최근 운영하기 시작했다. 덕분에 교육역량강화 지원대학 우수사례로 뽑혔다. 모범 입학사정관제 운영대학으로는 6년 연속 뽑혔고, ... ...
‘시린 이’ 2주 지나 치과 갔다가 ‘공사’ 키웠다
동아일보
l
2014.03.10
있던 치수를 완전히 제거하고 크라운을 씌우기 위한 기초 공사를 받았다. 치료 중 뼈와
귀
를 타고 전해오는 치아 깎는 소리가 참기 힘들었다. 이런 느낌이 싫어 사람들이 치과를 피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치료 뒤 혀로 어금니를 접촉하니 큰 구덩이가 파인 느낌이다. 충치가 깔끔히 제거된 ... ...
GTX 선로 위에 바람길 만들어 이명현상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9
박사는 “우리나라에서 고속지하철 사업은 처음이다보니 철도 관계자들조차 탑승객의
귀
통증 가능성에 대한 대책은 세워도 승강장 대기승객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앞으로 GTX 같은 지하고속철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 ...
[광화문에서] 예배당에 모신 슈퍼컴퓨터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이제 국가의 경제를 이끌고 기업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속세’의 소명(召命)에
귀
를 기울여야 한다. 첨단 과학을 ‘신봉하는’ 많은 성직자(과학자)들이 슈퍼컴퓨터센터를 성지처럼 방문하고 슈퍼컴퓨터가 제시하는 해법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중도 과학자의 ‘성지순례’를 ... ...
뇌CT “2분만에 끝”… MRI ‘쿵덕쿵덕’ 소음에 깜짝 놀라
동아일보
l
2014.02.24
금속 제품이 없는지 두 번 세 번 점검했다. 검사대에 눕자 의사는 기자의 양쪽
귀
에
귀
마개를 꽂고 두툼한 헤드폰까지 덧씌웠다. 기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머리 위로는 하얀색 코일을 덮었다. 촬영 부위 쪽으로 고주파 신호를 좀 더 세밀하게 받아들이기 위해서였다. 검사 전에 불편한 사항에 ... ...
“꼴이 이게 뭐냐” 고성 들리자… 실험인데도 눈끝 파르르
동아일보
l
2014.02.21
실수를 하거나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 나쁜 말은 자신에게도 스트레스 인간이
귀
로 들을 수 있는 음역대는 20에서 2만 Hz(헤르츠) 사이다. 실험에 사용된 음원의 파형을 살펴보면 중년 여성이 나긋나긋하게 말할 때는 200∼300Hz였지만 꾸짖을 때는 2∼3배인 600Hz까지 음역대가 올라갔다. 갑자기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분비하는 인슐린, 송과샘에서 분비하는 멜라토닌, 부신피질에서 분비하는 코르티솔 등이
귀
에 익숙한 호르몬들이다. 1980년대 중반 또 다른 내분비기관이 발견됐다. 바로 지방조직이다. 즉 지방조직은 단순히 지방을 저장할 뿐 아니라 렙틴 같은 식욕조절호르몬을 분비하기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