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뉴스
"
민감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K진단'과 과학자들의 연대
2020.06.24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검출 프로토콜. IBS 연구진은 생물학 실험실에서 진행할 수 있는
민감
성 높은 검출법을 제안했다. IBS 제공 ※참고문헌 Won, J., et al. Development of a Laboratory-safe and Low-cost Detection Protocol for SARS-CoV-2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Exp Neurobiol (2020) Park, M., et al. Optimization of Primer ... ...
아내의 파워 넘치는 등짝 스매싱
팝뉴스
l
2020.06.23
갖고 있었다. 해외 네티즌들은 믿을 수 없다면서, 혹시 남자의 피부가 지나치게
민감
하고 약한 게 아니냐고 묻는다. 사진은 미국의 한 이미지 공유 사이트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 ...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6.22
알려진 유해가스인 황화수소가 나온다. 이 센터장은 “미국에선 안전 문제에 매우
민감
해 산화물 연구를 주로 하는 편”이라며 “하지만 미국에서도 최근 황화물 연구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아직은 액체 전해질 수준으로 전도도를 높이는 게 과제다. 이 센터장 연구팀은 최근 ... ...
혈액형별 코로나19 걸리면…A형 중증·O형 경증 가능성↑
연합뉴스
l
2020.06.18
혈액형은 콜레라, 위궤양이나 위암을 불러일으키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민감
도와 연계돼 있기도 하다고 전문가들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 ...
'감염 안됐는데 양성?' 코로나19 위양성 사례 자꾸 나오는 이유
2020.06.17
국내에서 코로나19 진단에 사용하고 있는 7개 업체에서 제작된 RT-PCR 진단시약 자체의
민감
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시약 자체에 의한 오류 보고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RT-PCR 방식의 진단 과정에서 양성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양성 판정이 나올 가능성이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변이 '감염
민감
부위'로 일찍부터 주목 전문가들 "아직 특이사항 없어 더 많은 연구 필요" 바이러스 게놈 연구 프로젝트인 넥스트스트레인을 이용해 이번에 논란이 된 코로나19 바이러스(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스파이크 단백질 614번 아미노산의 변이 계통을 살펴봤다. 전세계 2779개 바이러스 게놈 ... ...
남극 동쪽 빙하가 서쪽보다 덜 녹는 이유는 '고도차'
동아사이언스
l
2020.06.13
기온 및 남극해 수온 변화 추이. 극지연 제공. 남극은 지구온난화에
민감
한 지역이다. 매년 수천억t의 빙하가 녹고 있다. 그런데 동남극에서 녹아 사라지는 빙하의 양은 세종기지가 있는 서남극의 4분의 1 수준이다. 그동안 두 지역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해빙 현상과 온난화에 대한 여러 가설들이 ... ...
'K-방역 선두주자' 코로나19 진단기술 특허 40건 출원
연합뉴스
l
2020.06.11
사례가 이어진다. 원종혁 특허청 바이오헬스케어심사과장은 "기존 진단법의 정확도(
민감
도·특이도)와 검출 속도를 높인 기술에 더해, 여러 종의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를 한 번에 검사해 선별하는 감별 진단기술에 대한 특허가 출원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
[잠깐과학] ‘빛 공해 금지법’ 가장 먼저 도입한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6.06
문제가 발생한다. 어두운 밤에 적응하여 진화한 박쥐 같은 야행성 동물은 밝은 빛에
민감
하다. 그런데 밝은 조명은 야행성 동물의 눈을 부시게 해 활동량을 떨어뜨린다. 달과 별빛에 의지해 이동하는 철새는 야간 조명 때문에 길을 잃을 수 있다. 인간도 밝은 조명을 받으면 수면 주기에 방해를 받아 ... ...
물고기 안 잡혀도 실망 마세요...실력 아닌 기후 탓이랍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떨어졌다. 출연자들이 통발을 이용해 잡은 문어도 줄고 있다. 문어는 수온 변화에
민감
해 최근 어획량이 급감했다. 지난 2010년 1만813t이 잡히던 문어는 지난해 9808t이 잡혔다. 현재는 바닷가 어디서나 쉽게 채집할 수 있어 출연진이 음식 재료로 자주 애용하는 거북손도 언제 사라질 지 모른다는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