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균형
불확실
동요
변화
변동
불평등
불균등
뉴스
"
불안정
"(으)로 총 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어렵고, 일단 입체구조로 만들어도 다시 2차원 평면구조로 돌아가려는 습성이 강해
불안정
한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먼저 고출력 반도체 소자에 흔히 쓰이는 실리콘 카바이드로 3차원 그래핀의 주형이 되는 탄소구조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탄소구조체를 가열해 실리콘을 선택적으로 제거해 ... ...
폐암 발생 막는 ‘유전체 지킴이’ 단백질 발견
2014.10.06
같은 폐암세포에서는 BAP1 단백질과 INO80 단백질의 농도가 매우 낮다. 크로마틴 구조가
불안정
해 DNA 복제가 제대로 안 된다는 의미다. 연구팀이 이 폐암세포에 BAP1을 주입하자 INO80의 농도가 다시 증가해 크로마틴 구조를 안정화 시켰다. BAP1 단백질은 INO80 단백질에 결합해 INO80 단백질의 분해를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년, 수만 년의 기간으로 보면 이 반응은 거의 일정하게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탄소14는
불안정
한 동위원소로 결국 질소14로 붕괴되는데(이때 전자와 반뉴트리노가 나온다) 반감기가 약 5730년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소14는 대기중에서 산소와 반응해 이산화탄소가 되고 식물에 흡수된다. 결국 ... ...
MRI 성능 큰 폭으로 끌어 올린다
2014.08.13
안전성까지 높여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성공했다. 특히 최근에는 액체 헬륨의 공급이
불안정
해 자주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제너럴 일렉트릭(GE), 지멘스(Simens), 필립스(Phillips) 등 의료기기 전문 기업들이 MgB₂초전도선의 MRI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어 시장 전망 역시 밝다. 최세용 연구원은 ... ...
오늘날 지구를 키운 건 8할이 운석
과학동아
l
2014.08.01
됐다. 또한 원시 지구의 지각을 지구 깊은 곳으로 밀어 넣는 계기가 됐으며, 지각을
불안정
하게 해 화산폭발과 지진 등의 지각활동을 왕성하게 함으로써 지구가 오늘날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도왔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화산폭발은 지구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끄집어내는 중요한 계기가 ... ...
벼락을 붙잡을 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13
나무뿌리처럼 수많은 갈래가 함께 내리친다. - 위키피디아 제공 최근 대기가
불안정
해 지면서 벼락이 자주 발생한다. 이달 8일에는 태풍 ‘너구리’의 영향으로 내리친 벼락이 울산석유화학공단 내 14개 업체에 정전을 일으켜 수백억 원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 ...
저품질 석탄, 사탕수수 만나 고급 석탄 된다
과학동아
l
2014.06.17
불구하고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다. 문제는 고급탄의 경우 가격이 비싸고 수급이
불안정
해 발열량이 낮은 저급탄이 종종 쓰인다는 것. 우리나라만 해도 미분탄 화력발전소에서 연간 약 3000만t에 이르는 저급탄을 사용하고 있다. 연구팀은 저급탄의 수분을 제거해 기공을 비운 뒤 그 안에 ... ...
변덕스런 장마철 날씨, 중국 이모작 때문?
과학동아
l
2014.06.12
인해 발생한다”며 “화북평원 지표면이 뜨거워지면서 온도 차이가 더 커져 대기가
불안정
해지고 강수량에도 영향을 끼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기후변화’ 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일산에 토네이도 강타, 미국에서나 있는 건 줄 알았는데…
동아일보
l
2014.06.11
한반도 지상 5km 상공에 찬 공기가 머무는 가운데 낮 기온이 30도 가까이 오르면서 대기가
불안정
해 강한 비구름이 생성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일산에서 목격된 토네이도는 바다나 넓은 평지에서 발생하는 매우 강하게 돌아가는 깔때기 모양의 회오리바람을 가리킨다.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 ...
헉! 원통형이라던 탄소나노튜브가 나선형이라니
과학동아
l
2014.06.09
1991년 처음 발견된 이후 계속 ‘꿈의 소재’로 불려왔다. 그런데 반도체로서의 성질이
불안정
하고 기계적인 특성도 예상과 다를 때가 많아 지금까지 실용화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고분해능 현미경과 에너지 계산을 이용해 탄소나노튜브가 지금까지 알려진 원통형 구조가 아닌 나선형 구조라는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