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젓가락
젖가락
젓갈
횡적
뉴스
"
저
"(으)로 총 2,23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혁명의 기수, 혁명의 제물이 되다
2020.04.02
다음날 남긴 유명한 말도 아직 전해지고 있다. “그의 머리가 잘린 것은 한순간이지만
저
런 똑똑한 머리를 만드는 데에는 100년이 걸려도 불가능하다.” ※참고자료 고인석, 《과학의 지형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최성우, 유령에 사로잡힌 산소 발견자들, 사이언스타임즈(2016.6.10.) https://www ... ...
북한 과학계 '차세대'는 누구…안억성·김철현 주목
연합뉴스
l
2020.03.31
여러 국제학술지의 편집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발단은 김철현의 논문 '반도체 레이
저
에서 자체혼합신호무늬에 미치는 선너비확대인수의 영향과 개선된 귀환결합곁수추정'가 지난해 3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학술지 'IEEE Access'에 실리면서부터였다. 통신은 "이를 계기로 국제학술잡지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밝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9
ACE 2와 스파이크 단백질이 결합해 바이러스가 몸 속으로 침투한다. 위엔위엔 장과 키앙
저
우 중국 웨스트레이크대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와 ACE 2의 최대 길이를 연구결과를 이번주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ACE2는 ‘이합체’ 구조를 가졌다. 이합체는 두 ... ...
볼링장에서 분노 폭발한 남자
팝뉴스
l
2020.03.28
것이 목적이 아닌 것 같다. 박살내고 싶은 것으로 보인다.
저
남자는 도대체 왜
저
런 행동을 한 것일까. 미국의 유머 사이트 등에서 화제가 된 사진에는 특별한 설명이 없다. 다만 사진을 보면 충분히 읽을 수 있다. 남자는 분노했거나 에너지가 넘쳐서 어찌할 바를 모르는 것이다. 하지만 ... ...
나무에게도 귀가 있다?
팝뉴스
l
2020.03.24
귀는 무섭고 기괴한 모양이어서 더 주목을 끈다. 정확한 것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저
무겁게 생긴 귀는 버섯의 일종이라는 설명이 네티즌들의 공감을 사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주말N수학]수학 분석으로 설계한 반려견 돌봄 서비스
수학동아
l
2020.03.21
연결해 읽어내는 능력도 업무에 큰 도움이 된다. Q. 마지막으로 조언 한마디 한다면.
저
처럼 수학을 좋아하고 공부하는 친구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인성이 정말 중요하다’는 거다. 또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는 속담처럼 살다 보면 ‘나보다 월등한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 ...
우리집 소파에서 자는 여우
팝뉴스
l
2020.03.19
제공 소파 위의
저
동물은 정체가 뭘까? 고양이는 아니다. 그렇다고 개도 아니다. 여우가 맞는 것 같다. 그런데 어떻게 집안 소파에 여우가 잠잘 수 있을까? 사진은 미국의 이미지 공유 사이트에서 화제된 것으로, 집 주인이 아주 난감한 심정으로 카메라를 꺼내들었다고 한다. 외출해서 집에 ... ...
한국 진단키트 걸고 넘어지더니…국내 연구진 美진단키트 결함찾고 국내 기업은 보완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18
논문으로 처음 공개한 것”이라며 “CDC 키트가 진단용으로 더 많이 배포되기 전에 철
저
히 재검토할 것을 제안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에서는 N1 역시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달 16일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 뉴욕주의 일부 연구소에서 N1도 문제가 있어 CDC와 FDA의 권고가 아무런 ... ...
맥주 훔쳐 마시는 원숭이 ‘포착’
팝뉴스
l
2020.03.18
해외 네티즌들이 궁금해하는 또다른 문제가 있다. 병 마개는 어떻게 열었을까?
저
원숭이는 천재인가? 해외 네티즌들은 어리둥절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동물들도 민주적 의사결정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6
쪽으로 이동할지 투표한다. 미어캣의 투표 방식은 울음소리다. 미어캣 한 마리가 ‘
저
쪽에 먹이가 있는 것 같아. 이동할래?’라는 울음소리를 내면 거기에 동의하는 미어캣이 따라 울음소리를 내는 식이다. 투표는 민주적으로 이뤄진다. 서열이 높은 미어캣의 울음소리를 무작정 따르지 않는다. 한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