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창업"(으)로 총 1,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 일자리 더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21.03.25
- 16억 2000만 원이 증액됐다. 이 사업은 선배 벤처기업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청년창업가에게 전수하는 사업이다. 본예산 19억 9900만원이던 사업은 추경예산이 늘어나면서 지원 기업이 200곳에서 375곳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 ...
- [인사] KAIST동아사이언스 l2021.03.23
- ◇KAIST △홍보실장 김정관 △감사팀장 엽정길 △건설팀장 윤재성 △경영전략팀장 전효리 △기획팀장 정성훈 △대학원입학팀장 조성운 △문지캠퍼스 ... 임찬상 △연구기술보안팀장 장준선 △연구지원팀장 정인덕 △장학복지팀장 방동석 △KAIST 창업원 운영팀장 겸 K-스쿨 운영팀장 ... ...
- [과기원은 지금] UNIST, '나노주름' 관찰·제어 동시 가능한 나노현미경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03.23
- 22일 밝혔다. 창업활성화를 위한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은 우수한 기업을 대상으로 창업기업을 홍보를 통한 매출 증대, 해외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국제인공지능대전’ 참가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번 행사에는 인공지능 CCTV를 이용한 비접촉식 반추동물 행동 인식·분석 솔루션 서비스를 ... ...
- 과학벨트 지원사업 대전 거점지구까지 확대한다연합뉴스 l2021.03.22
- 지원에 122억원을 투입한다. 과학벨트 소재 기업의 신제품 양산 지원에 42억원, 유망 창업기업을 발굴해 자금투자를 돕는 데 10억원 등이다. 기초과학 분야 기획 회의나 기술 교류 등을 추진하는 과학벨트 연구회와 기업의 온라인 판매를 지원하는 온라인 유통채널 입점 지원사업도 신규 운영한다 ... ...
- 박희재 서울대 교수 "힘들 때 회사 차려 돈 벌고 일자리 만듭시다"동아사이언스 l2021.03.18
- 제공하고 향후에는 서울대, 관악구청, 서울시 교육청이 준비 중인 관악S 밸리와도 연계해 창업 공간을 지원할 예정이다. 박 교수는 "박희재 창의공간이 서울대 공대에 마련돼 벅차 오른다"며 "창의와 열정, 도전으로 글로벌기업가 정신을 구현하는 후학들에게 갈채를 보낸다"고 소감을 말했다. ... ...
- [과기원은 지금] 정명수 KAIST 교수, 메모리 용량·속도 끌어올렸다동아사이언스 l2021.03.17
- 학술대회인 이스카에서 공개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5일 인공지능(AI) 분야 창업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투자유치 기업설명회(IR) 피칭대회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IR피칭대회에는 7개 기업이 참여했다. 대상은 번식우의 발정 탐지 기능이 적용된 AI 폐쇄회로(CC)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 ...
- ‘이말년씨리즈’ 같은 히트작 그리는 ‘AI 만화가’ 꿈꿔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03.13
- 만드는 게 그의 일이었다. 그러다가 지도교수와 연구실 선배들이 AI 회사를 창업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그의 관심도 자연스럽게 AI로 옮겨갔다. 다음은 이 연구원과의 일문일답. 석사학위 논문을 준비하면서 ‘이미지 생성 모델’을 공부했어요. 보통 AI를 제대로 학습시키려면 수만 장에 ... ...
- 뇌 회로 망가뜨리는 돌연변이 조현병 부른다동아사이언스 l2021.03.11
- 설명했다. 소바젠은 연구를 이끈 이 교수가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있는 KAIST 교원 창업 기업으로 뇌에만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를 위한 약물을 개발하는 바이오 벤처다. 김 선임연구원은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소바젠에 합류했다. 시퀀싱 데이터 분석에는 ... ...
- [과학게시판] AI시대 이공계 교육을 위한 혁신 방안 포럼外동아사이언스 l2021.03.11
- 주니어 지원 프로그램은 기존 창업 경진대회와 다르게 잠재력과 열정을 가진 예비 창업팀을 발굴해 4개월 동안의 활동과 성장도를 평가해 사업 운영 자금을 수여한다. 국내 최고의 초기기업투자전문 벤처캐피털 회사 5곳의 대표가 심사위원을 맡고 있다. 지난해 10개 스타트업에 7500만 원을 지원했고 ... ...
- [과학게시판]디지털콘텐츠 해외진출 지원사업 기업모집 外동아사이언스 l2021.03.10
- 육성 관련 법정 최상위 계획이다. 특구 내 공공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 기술 창업 지원, 특구 내외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 활성화, 신기술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 향후 5년간의 특구 육성 정책의 기본 방향이 담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9일 14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소 올해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