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도달하게 만들어 암 조직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먼저 나노
크기
(100nm 이하)의 입자 형태 물질인 AaLS 표면에 NK세포를 인지하는 단백질과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를 인지하는 단백질을 융합시켜 나노드론을 개발했다. 난소암과 유방암 세포가 주입된 동물실험을 통해 효과를 ... ...
"뇌혈관 주위 공간 크면 자폐장애 위험"
연합뉴스
l
2023.12.21
때 찍은 뇌 MRI 영상이 있었다. MRI 영상에서 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혈관 주위 공간의
크기
와 축외 뇌척수액(EA-CSF) 용적이었다. 이 중 47명은 생후 24개월 때 ASD 진단을 받았다. 이 아기들은 형 또는 오빠가 두 살 때 ASD 진단을 받은 가족력이 있어 ASD 고위험군이었다. 다른 180명은 ASD ... ...
천문硏 '외계행성탐색시스템' 노후화…"예산 없어 관리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현상의 패턴을 분석하면 멀리 있는 별의
크기
와 같은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해당 별이
크기
가 큰 목성형 행성인지 아니면 금성형이나 지구형 행성인지를 알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의 별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천문연에 따르면 KMTNet은 미시 중력렌즈 현상을 사용해 발견하는 외계행성 ... ...
KVN 평창 전파망원경, 고주파 신호 검출…내년 블랙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12.20
블랙홀 관측에 직접 참여할 예정이다. EHT는 전 세계에 산재한 전파망원경을 연결해 지구
크기
의 가상 망원경을 만들어 블랙홀 영상을 포착하려는 프로젝트다. 2024년 상반기 시범 운영을 거쳐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관측 운영을 하게 될 KVN 평창 전파망원경은 천체 관측 영상 성능을 2배 이상 높여 ... ...
전압 따라 달라지는 물 분자, 펨토초 단위로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12.20
움직임이 느려지고, 음의 전압에서는 빨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빨라지는 정도는 전압의
크기
에 비례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전극 표면에 존재하는 물의 산화 환원 반응 역시 물 분자 움직임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조 단장은 “전기화학반응을 이해하는데 ... ...
조선 후기 ‘원구일영’은 휴대용 해시계였다…"어디서든 시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12.19
로 구성된다. 일영은 남북의 극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원구형 해시계다. 지름 9cm
크기
의 원구(圓球)는 상단 반구와 하단 반구인 2개의 반구(半球)를 조립해 하나의 원구(圓球)를 구성하고 있다. 원구일영의 표면에는 시각표기와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가 설치됐다. 시각표기인 시각선(時刻線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증식이 가능하므로 생물체와 무생물체의 중간에 속한다고 한다. 바이러스는 평균
크기
로는 가장 작은 미생물이지만 거대세포바이러스와 같이 아주 큰 바이러스도 있다. 최근에 중국에서 폐렴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원인은 세균보다 작은 마이코플라즈마(미코플라즈마)의 유행 때문이다. ... ...
크리스마스 이브에 직접 만든 로켓 쏘아올리는 고교생
과학동아
l
2023.12.16
계산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그걸로 계산해 봤더니 지금까지 저희가 노즐 구멍
크기
를 너무 크게 만들었단 걸 알 수 있었어요. 오버페이스 팀이 2022년 7월 진행한 엔진 추력 실험 장면(위).. 노즐의 구멍을 작게 개선한 결과 8.81lbf(39.2N).의 추력이 발생했다(아래). Overpace 제공 2022년 7월 다시 ... ...
고양이도 사교성 있다…물건 가져오기 놀이 즐겨
동아사이언스
l
2023.12.15
물건 가져오기 놀이에 자신만의 규칙도 있었다. 가령 털실 뭉치와 같은 물건의
크기
가 중요한 경향이 있었다. 평소 가지고 놀던 뭉치보다 큰 물건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는 등의 특징을 보인 것이다. 놀이 형태도 다양했다. 어떤 고양이는 놀고 싶을 때 주인의 근처로 다가와 장난감을 ... ...
혀에도 '지문' 있다…사람마다 입맛 다른 이유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2.15
명의 혀의 본을 떠 실리콘 모형을 만들었다. 각각의 돌기를 수천 개의 현미경으로 스캔해
크기
와 특징, 위치를 확인했다. 분석 과정에는 인공지능(AI) 프로그램이 사용됐다. 이렇게 확인된 혀 돌기 패턴은 혀의 주인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개인마다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혀 돌기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