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341건 검색되었습니다.
'터미네이터 T1000' 로봇처럼 좁은 틈 통과하는 '액체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교수 공동 연구팀이 액체 기반의 차세대 소프트 로봇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21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과학자들은 생체 세포의 독특한 능력을 인공 시스템으로 구현하려는 연구를 지속해왔다. 생체 세포는 자유롭게 변형이 일어나고 분열·융합하며 ... ...
첫 돌 이후부터 기억 쌓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점에서 오류가 있다고 보았다.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연구팀이 2023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한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유아기에 해당하는 쥐의 해마에 기억 흔적인 ‘엔그램’이 형성된다는 점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선 미로에서 탈출구를 찾는 ... ...
"민간기업 주력하는 '소형 재사용발사체' 경제성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항우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지난해 11월 '2024년도 한국추진공학회 추계
학술
대회'에서 소형 재사용발사체의 경제성을 분석한 '뉴스페이스 소형 발사체와 소형 재사용 발사체의 경제성 분석'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스페이스X의 대표적인 재사용 중형발사체인 팰컨9의 구조를 ... ...
지형·기후·식생 다른 LA·의성 산불…'빠른 불'이 덮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피해를 일으키는 산불을 의미한다. 지난해 제니퍼 볼치 미국 콜로라도대 교수팀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미국에서 하루 평균 확산된 산불 면적은 2001년보다 2.5배 증가했으며 가장 피해가 큰 산불은 대부분 이 '빠른 불' 유형이었다. 산불의 치명성을 분석할 때 ... ...
기적의 항암제 'CAR-T' 보완하는 CAR-M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연구원과 최지우 연구원이 참여한 논문은 1월 국제
학술
지 ‘생체 신호 연구(Biomarker Research)’에 게재됐다. -https://doi.org/10.1186/s40364-024-00703-9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속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25.03.23
내부의 에너지 생산 구조를 전례 없는 해상도로 관찰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호흡 단백질들은 미토콘드리아 막의 특정 영역에 밀집해 있고 서로 밀착해 하나의 주된 슈퍼복합체를 구성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미경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자 2배로 늘려 몸집 키운 효모
동아사이언스
l
2025.03.22
제공 이번 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표지에는 다세포 효모인 눈송이효모(학명 Saccharomyces cerevisiae)가 실렸다. 일반적으로 생물의 유전정보가 담긴 염색체는 한 쌍을 이룬 2배체다. 전체 게놈 복제(WGD)는 세포의 염색체가 한 벌 더 늘어나 4배체가 되는 현상이다. WGD는 눈송이효모를 포함한 여러 ... ...
'친구' 전멸시키는 치명적 박테리아 전세계서 창궐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항균성 물질을 생성해 동료들을 사멸시킨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21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역 병원 데이터를 조사해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박테리아는 스스로 항균성 물질을 만들어 이를 무기 삼아 같은 계열의 박테리아들을 제거하고 지배적인 균주 ... ...
슈퍼컴 없이 美 기상청 예보 정확도 '뺨치는' AI 모델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움직임을 물리 법칙으로 계산해 날씨를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20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된 관련 논문에 따르면 애드바크 웨더는 AI가 날씨 패턴을 학습한 기계학습(머신러닝) 기반 예보 시스템이다. 복잡한 물리 법칙을 직접 계산하지 않아도 학습한 기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 ...
[동물do감] 교통 소음에 '분노' 표출하는 야생 조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노랑휘파람새의 이같은 행동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동물행동’에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갈라파고스 제도에 위치한 플로레아나섬과 산타크루즈섬의 총 38개 지점에서 이뤄졌다. 이 중 20개 지점은 도로에서 50m 이내, 18개 지점은 도로에서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