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P"(으)로 총 1,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것이 궁금하드아④] 블록체인 진화의 끝은? 세대별 발전 과정 살펴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2.22
- 9월 블록체인 컨소시엄(R3CEV)를 구성했습니다. 리눅스재단과 IBM이 주도하는 하이퍼레저(Hyperledger) 프로젝트도 2015년 12월부터 진행 중입니다. 특히 하이퍼레저 프로젝트는 고객의 정보를 각각의 서비스 정보를 담고있는 블록체인과 연결시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 ...
- 물컹물컹 해파리. 바삭바삭 ‘해파리칩’...이것이 미래 식량?!동아사이언스 l2018.02.20
- 밝혔다. 서양에서는 해파리를 식재료로 쓰려면 보통 약 한 달 동안 소금과 칼륨백반(potassium alum)에 절이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면 삼투압 현상에 의해 해파리에 있던 수분이 대부분 빠져나가면서 마치 피클 같은 질감을 갖게 된다. 연구팀은 에탄올을 이용한 방법으로 이 과정에 걸리는 시간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2018.02.17
-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 ... ...
- 민감한 의료정보, 블록체인으로 안심 저장 동아사이언스 l2018.02.14
- 정부가 국내 ICO를 금지하는 바람에 회사의 소재지를 옮겼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IPO(주식공개상장)처럼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되 국내에서도 ICO가 진행되도록 제도가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포항 지진 경보 7분이나 걸린 까닭동아사이언스 l2018.02.13
- 이전에 재난 문자 알림이 오기도 했다. 당시 기상청은 진도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P파를 이용해 자동 추정된 정보를 25초 내에 문자로 발송하는 ‘지진통보시스템’을 처음 적용했다고 밝힌 바 있다. ● 지진통보시스템은 기상청, 긴급재난문자 시스템은 행안부가 담당 11일에 발생한 여진 ... ...
- 경주, 포항 강진 이어지는데 … 단층조사는 제자리동아사이언스 l2018.02.12
- 지진 이후부터 널리 적용되고 있다. 지진파는 수직으로 진동하는데다 속도가 빠른 P파와 수평진동을 통해 퍼지는 S파로 구분된다. 물질의 밀도나 광물의 종류 등 지질의 상태에 따라 이런 지진파의 종류별 속도가 달라지는 데, 이를 측정하면 단층면의 대략적인 경계를 확인할 수 있다. GIB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2018.02.10
-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 ... ...
- [그것이 궁금하드아③] 퍼블릭 vs 프라이빗 블록체인, 진짜 블록체인은 무엇?동아사이언스 l2018.02.09
- 통해 신뢰도가 높은 노드를 선출하고, 이들의 동의를 얻어 거래를 증명할 수도 있습니다(DPOS 방식). 퍼블릭 블록체인이 일부 프라이빗의 성격을 갖게 되는 겁니다. 반대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다수 집단이 참여하는 블록체인의 형태로 발달할 가능성이 큽니다. 최근 퍼블릭,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 ...
- 부모의 스마트폰 과의존, 자녀도 따라간다동아사이언스 l2018.02.08
- 8.6% (7860천명)로 전년 (17.8%) 대비 0.8%p 증가했으나 최근 3년간 상승 폭은 2015년 2%p, 2016년 1.6%p보다 주는 등 점차 둔화되는 추세다.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제공 과의존 위험군은 청소년층에서 30.3% (1523명)으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유아동 19.1%(576명), 성인 17.4% (5310명), 60대 이상 12.9% (451명) 순이었다. ... ...
-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과학동아 l2018.02.07
- 속도가 가장 빠른 지진파인 P파로 지진을 포착한다. 중력장이 미세하게 달라지는 현상이 P파보다 먼저 발생하지만, 그 신호를 측정하기가 지금까지는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동일본 대지진 당시 한국과 중국에서 관측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원으로부터 1000~2000km 떨어져 있는 광대역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