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의
제언
제기
제공
건의
충고
권유
스페셜
"
제안
"(으)로 총 94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시공간의 특수한 점이라는 것을 납득하지 못하고 있었다. 1983년 무경계 우주론을
제안
해 특이점에 대한 설명을 내놓은 것도 호킹이었다. 호킹은 태초보다 10분 전의 시간에 대해 묻는 것은 '지구의 북극에서 북쪽으로 1km 떨어진 지점이 어디냐'고 묻는 것과 같다고 풀이했다. 사실 북극에서는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있습니다. 영국의 이론 물리학자 피터 힉스는 ‘신의 입자’라 불리는 ‘힉스 입자’를
제안
, 우주 생성 과정에 대한 열쇠를 제공했다는 평을 받습니다. 하지만 힉스 입자를 1964년 처음 제시한 그는 2013년에야 노벨 물리학상을 받습니다.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 CERN)가 힉스 입자를 발견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
2018.02.17
사람들에 비해 자신은 부당한 대접을 받아서는 안 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불공정한
제안
을 거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대로 말하면 가난한 사람들은 자신은 불공정한 대접을 받아도 어쩔 수 없다며 순응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유한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들에 비해 더 자신이 피해를 보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지수함수의 곡선으로 증가한다는 이론으로 19세기 영국의 수학자 벤자민 곰페르츠가
제안
했다. 보통 흡연이나 활동부족(정적인 생활습관)이 사망률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사실 가장 상관관계가 큰 원인은 나이다. ‘세월 앞에 장사 없다’는 말이 있듯이 사람의 경우 30세를 기점으로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북한 운산과 개성에서 2차례 열렸지만 북한이 막판에 거부해 종결됐다. 2015년 세번째
제안
이 있었지만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이때는 우리 정부가 거부해 결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외교부 등 정부측 인사와 지질학계 전문가들이 백두산 남북 공동연구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발현의 조절 단위로 1950년대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의 자크 모노와 프랑수아 자콥이
제안
한 개념이다. 이들은 대장균의 특이한 생태에 주목했다. 평소 대장균은 설탕을 선호하는데 만일 설탕이 없고 젖당만 있는 환경에 놓이게 되면 처음에는 잘 못 자라다가 다시 잘 자라기 시작한다. 젖당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내 기억력의 품질, 관리하기 나름
2017.12.19
능동적(active) 과정으로 나뉜다. 최근 신경과학자들은 능동적 망각인 고유망각 개념을
제안
했는데, 이에 따르면 망각세포도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 참조. - 뉴런 제공 ● 수면이 망각 과정 억제해 망각은 작용 양상에 따라 수동적 망각과 능동적 망각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수동적 망각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위주로 된 가로등을 써야 한다고(물론 밝은 빛이 필요한 찻길은 백색등을 써야겠지만)
제안
했다. 그런데 한 청중이 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일본의 한 도시에서는 오히려 파란빛이 나오는 가로등을 설치해 범죄율을 크게 낮췄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만일 필자의 말대로 파란빛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뛰어났음을 짐작할 수 있다. 글래스고대에서 강사로 지내며 드레버는 이론물리학자들이
제안
한 아이디어를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구상하는 재미에 푹 빠져 지냈다. 그러던 중 1969년 미국 메릴랜드대 조제프 웨버 교수가 은하중심에서 중력파를 검출했다는 소식을 접한 드레버는 더 정밀한 장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것 같지는 않다. 다만 최근 백신 개발용으로 적합한, 즉 SFTS바이러스를 대표하는 균주를
제안
한 중국 연구자들의 논문이 한 학술지에 발표되기는 했다. 한중일 세 나라의 보건 담당자들이 SFTS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하지 않을까. 한편 SFTS가 진드기 매개 질병의 전부가 아니다.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