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조 공정 중심에서 벗어나 사람 향한 융합기술 가치 내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늘릴 예정이다. 이미 한양대와 공동
학과
를 만들기로 했다. 로봇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
학과
로 상당히 좋은 협력이 모델이 될 거라 생각한다. 융합기술연구소는 AI 시대에 부응할 만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 특히 AI의 기본 재료가 되는 산업데이터를 많이 축적하고 있다. 현재 융합기술연구소는 ... ...
[인터뷰]"코로나19 취약계층 보듬기, '나'와 사회' 위한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7.11
문제에 왜 관심을 가져야 하나. 지난해 가을, 김승섭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사회
학과
데이비드 윌리엄스 교수(왼쪽)와 매사추세츠 주립대학교 경제학자 리 배지트 교수(오른쪽)와 만나 사회적 약자의 차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인권이란 말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평생 한국에만 ... ...
코로나19 전파 연결고리 '소셜 버블' 끊을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확산 방지에 효과적이라는 건 연구에서도 입증됐다. 멜린다 밀스 영국 옥스퍼드대 사회
학과
교수팀은 지난달 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간 행동’에 일상적으로 만나는 사람은 반복적으로 접촉을 허용하는 대신 다른 사람과 접촉을 줄이는 전략을 채택하면 거리두기를 막연히 수행하는 것에 비해 ... ...
호흡기 질환이라던 코로나19 '온 몸 망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일으킨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로버트 캠팰 미국 유타대 의대 내의
학과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혈액’에 발표했다. 코로나19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혈액을 분석한 결과, 혈소판 응집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소판은 혈액의 응고나 지혈작용에 ... ...
"본질적인 문제 못찾으면 제2,제3 코로나19 계속 온다" 유엔보고서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생길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조언이다. 실제로 지난달 오를리 라즈구르 영국 엑시터대 생태
학과
연구원팀은 삼림 벌채와 도시화, 농지면적 증가와 같은 토지 사용 변화가 동물의 행동에 변화를 일으켜 코로나19와 같은 인수공통감염병 출현을 야기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포유류 리뷰’에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또 다른 근거로 2015년에는 구스타보 캐타노 아놀레스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작물
학과
교수팀이 바이러스 3460종과 생물 1620종의 단백질이 접혀 있는 패턴을 분석해 바이러스가 원시 생명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각 생물 종의 단백질은 접혀 있는 구조가 조금씩 다른데, 연구팀은 잘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지를 치며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빛
동아사이언스
l
2020.07.04
해파, 빛도 비슷한 구조를 가졌을 것으로 분석된다. 우리 시반 이스라엘 테크니온대 물리
학과
교수 연구팀은 빛이 가지를 치며 뻗어 나가는 모습을 관찰했다는 연구결과를 이번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렇게 빛이 가지를 치며 퍼지는 모습을 관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으로 ... ...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07.04
도허티 교수 제공 피터 찰스 도허티 호주 멜버른대 도허티연구소 미생물학및면역
학과
교수는 우리 몸의 선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을 밝힌 면역학 분야의 대가다. 그는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만 정확하게 구별해 공격하는 원리를 알아내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 ...
대기 뺏겼나 원래 없었나…껍데기 없이 핵만 남은 행성 첫 관측
연합뉴스
l
2020.07.02
기회가 될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스위스 베른대학에 따르면 영국 워릭대학 물리
학과
의 데이비드 암스트롱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730광년 떨어진 곳에서 태양과 매우 유사한 별을 도는 외계행성 'TOI 849 b'를 관측한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 행성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독일의 과학엔 특별한 것이 있다
2020.07.02
있다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
학과
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포기하고 바이러스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에서 초파리의 행동유전학을 연구했다. 초파리 수컷의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