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도약하기 위해서는 개별 생체분자의 구조와 움직임을 정확히 알아야만 한다. 이
과정
에서 지난 10-20년 동안 나노기술이 발전하면서 개발된 각종 기기와 방법이 적극 도입되고 있다. 즉 원자 하나하나를 직접 들여다보는 원자현미경, 펨토(femto, 1천조분의 1)초 수준에서 분자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진입한 후에는 입자가 핵표면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도 도입하고 있다.생물학적
과정
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앞으로 분자설계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많은 아이디어가 약물전달시스템에 등장할 것이다. 그 결과 언젠가는 꿈의 약물전달시스템인 나노로봇이 실현될 것이고, 이는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검사는 높은 적발율을 보인다. 현재 국내 거짓말 탐지기의 신뢰도는 약 95%. 1980-1998년 수사
과정
에서 거짓말 탐지기로 조사받은 3천34명의 사례를 재판결과와 비교한 결과, 판결이 조사결과를 뒤집은 사례는 단 1건 뿐이다. 국립과학수사연구소(국과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허언탐지실이 검사한 1백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종류 및 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또 많은 연구자들이 유전자의 기능 및 세포의 신호전달
과정
연구에 siRNA를 매개로 한 RNA 간섭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이 밖에 국내 생명공학벤처기업인 벡터코에이에서는 siRNA를 효율적으로 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통해 기초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줄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마련된 천막 안의 전시물들 옆에서 관람객들에게 일일이 설명을 해주는 이들은 모두 박사
과정
에 있거나 박사학위를 받은 과학자들이었다. 트럭에서도, 가상현실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도대체 얼마나 많은 과학자들이 축제에 참여했을까? 그리고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이번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터전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원과 그의 인연은 남다르다.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사
과정
을 마치고 이곳에서 연구원으로서의 첫발을 내디뎠다. 그 후 당시 새로운 분야였던 표면과학을 공부하려고 미국 유학길에 올라 1984년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프린스턴대에서 박사후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냄새 패턴이 생기면 뇌가 그에 맞는 냄새를 찾아내는 것이다.후각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
을 ‘분자 수준’ 에서 살펴보자. 냄새 분자가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면 후각특수단백질(G단백질)이 활동하기 시작한다. 이 단백질은 수용체에 붙어 있는데 냄새 분자가 이 단백질을 깨우는 일종의 스위치가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에 발표해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F1-ATPase는 생체 에너지원인 ATP를 분해하는 효소로서, 이
과정
에서 화학에너지가 역학적 에너지로 바뀌면서 회전운동이 일어난다. 즉 F1-ATPase는 ATP를 연료로 하는 회전 모터라고 할 수 있다.연구자들이 제작한 나노기계의 구조는 나노기둥(지름 80㎚, 높이 2백㎚),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구나 수정 후 태반이 생기고 태아가 자라는
과정
에 대한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현재 인공심장 개발의 선두주자격인 미국에서도 환자에게 인공심장을 일생 동안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한다. 인공심장은 이식할 수 있는 알맞은 심장을 구할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만경강하구 어민들은 2월초-4월말 하룻밤 벌이로 논 한 필지를 살 수 있었다. 산란
과정
이 베일에 싸여있어 양식이 어려운 실뱀장어를 이때 잡아다 양만장에 가둬놓고 기르면 그야말로 금값이 된다. 1997년엔 1kg 당 1천5백만원까지 올랐다. 당시 금 1kg이 1천2백만원이었으니 금보다 비쌌던 셈. 그래서 ... ...
이전
746
747
748
749
750
751
752
753
7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