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연구에 신기원 연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관측도 허블의 주요 임무 중 하나다. 우주에서 발견되는 초고온의 별은 그 에너지의 대
부분
을 자외선으로 방출한다. 따라서 천문학자들은 자외선 연구를 통해서만 뜨거운 별의 구성과 고온으로 상승하는 원인을 밝혀낼 수 있다.우주복사 연구에 직접적으로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허블이 갖고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그러나 고려청자가 언제 어떻게 시작됐는지 아직 확실치 않다.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
이 아직 꽤 남아 있는 것이다. 우리는 청자의 고향이라고도 불리는 전라남도 일대, 특히 강진 등지에서 계속해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청자 가마터에 주목해야 한다. 그 발굴과 조사연구를 통해 해명의 결정적 ... ...
종족의 보존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가능하다면 암컷과 수컷이 견본으로 동물원에 옮겨져 짝짓기를 하게 될 것이다.(대
부분
의 동물들은 생포된 상태에서 짝짓기를 하지 않는다. 야생 상태에서와 같은 어떤 자극이 성공적인 종족 번식을 위해선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독일 루르대학의 베른하트 마이어씨는 과거에 세계에서 가장 큰 ... ...
프로그래머와 해커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않는다는 것이다. 즉 프로그램상의 버그(bug)라든가 프로그래머가 미처 고려하지 못한
부분
의 경우 전혀 해결의 능력이 없다는 것. 많은 해결사들이 특정한 프로그램을 개발한 프로그래머 본인이 아니라 단순히 일정한 돈을 받고 고용된 사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다만 ... ...
미술품의 진품 여부를 가리는 X선법과 중성자법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대한 미술계의 기대는 매우 크다. 렘브란트의 그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어두운 색
부분
(다양한 안료가 겹쳐 칠해진
부분
)의 필적이 선명히 드러나 조사에 위력을 발휘했다.X선법이나 중성자법으로 내려진 모사품 판정은 값비싼 작품을 소장한 미술관이나 개인소장가에게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 ... ...
킬라우에아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주로 비폭발성으로 분출돼하와이의 화산은 개성이 있다. 그중 가장 흥미로운 점은 대
부분
의 용암 분출이 비(非)폭발성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이다. 용암이 이처럼 완화된 형태로 분출되는 까닭은 마그마(magma)의 특이한 화학조성 때문이다. 지표에 도달하기 전 상태의 용암을 가리켜 우리는 마그마라 ... ...
애매함을 수용하는 교육환경이 필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전문자문위원회 설치교육은 본래 문교부의 소관이나 현재 과학영재교육은 상당
부분
이 과기처 지원과 관할하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과학영재교육을 정상화시키고, 이들의 창의성을 극대화해 국가 과학기술의 향도적 역할을 감당해 나가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처내에 과학영재교육 ... ...
건축자재의 신소재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자갈의 극히 일
부분
만이 형틀과 접촉하기 때문에 형틀의 마모손실률이 낮으며 훼손된
부분
이 있다손 치더라도 내용물이 좀처럼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매우 길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자체에 30%정도의 동공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또 시공작업이 간단 신속해 ... ...
팩시밀리 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통해 어떤 문서를 보내고자 했을 때 부재중이라도 수신할 수 있다.이외에도 대
부분
의 팩시밀리는 원고농도와 화질을 선택할 수 있다. 작은 글씨나 섬세한 그림을 전송할 경우 고화질(fine)을 선택하면 전송속도가 떨어진다 ... ...
적조현상 물고기의 떼죽음 식수오염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전국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수질오염도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소양강댐 뿐만이 아니라 대
부분
의 댐의 수질이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 전북지역의 식수원인 대청댐은 85년부터 87년까지 BOD가 1.38~1.49ppm이었으나 88년에는 1.69ppm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COD는 안동댐의 경우 87년 2.0 ... ...
이전
746
747
748
749
750
751
752
753
7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