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글리벡을 복용해야 하는 백혈병 환자가 노바티스사의 값으로 약을 살 경우 한달 약값은 약 3백만원 정도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유럽 등의 많은 나라에서는 노바티스사의 비인도적이고 이기적인 횡포를 비난하는 항의시위가 계속되고 있다.정부와 노바티스사는 한발자국씩 물러서서 고통받는 ...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첨단기술이다. 이 기술이 구현된 시스템을 사용하면 약 1천5백만명이 동시에 전화통화를 하거나, 영화 1백30여편을 서울에서 대구까지 단 1초 내에 전송할 수 있다.초고층 전화국 필요없다장거리 통신시스템뿐만 아니라 여러 도시를 서로 연결해주는 통신망도 ...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것으로 믿었다. 하지만 우리 태양계는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약 3만광년 떨어진 곳에서 약 2억년을 주기로 공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호에서는 우리은하에 대해 알아보자.★ 맞으면 ○, 틀리면 × 하시오.(1) 은하수의 굵기는 계절에 따라 다르다. ( )(2) 은하수는 어느 계절이고 천정에서 볼 수 ...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예상 외로 어두워서 최접근시에 카메라가 소행성을 확인하지 못하고, 최접근 후 약 15분만에 소행성의 모습을 파악했지만, 탐사선에 대한 기술상의 테스트는 매우 성공적이었다.게다가 소행성의 크기나 형태, 광물 조성 등 과학적인 성과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소행성 브레일에서 관측된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물리학 - 제5의 물질 보즈-아인슈타인 응집상태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소문을 듣고 마지막 순간까지 실험하다가 학회에 참석하지 못한 것이다. 이 학회 후 약 2달이 지나 케털리 교수팀은 역시 나트륨 원자에서 응집상태를 구현했고, 그해 가을 10만개 정도의 BEC로 응집된 나트륨 원자를 얻었다. 특히 응집된 원자들은 서로 위상이 일치돼, 마치 광자들이 유도방출에 의해 ...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모티브가 훌륭하게 각색돼 삽입됐다는 점이다. 악당은 옛소련도 이슬람 국가도 마약 밀매단도 아닌 바로 CIA 자신이며, 그들은 예산을 늘리기 위해 트럭에 폭탄을 장치하고 아랍인의 행위로 꾸미려는 음모를 계획한다. ‘컷스로트 아일랜드’의 실패를 만회하고도 남을 만한 오락 영화.| 메멘토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생리·의학 - 특정 질병에 특정 치료법, 최초이자 최고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그러자 수술 자체가 비인도적이라는 비난이 일어났다. 때마침 효과 좋은 새 항정신약물이 도입되면서 이런 비판에 힘을 실어줬다. 그 결과 아주 극단적인 환자의 경우(매우 심하고 병소가 확실한 간질 등)를 제외하고는 1960년대 이후 정신외과 시술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이 두 사례는 제2차 ... ...
- 궁궐의 우리 나무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겨울에 줄기가 죽지 않는 식물인 나무는 남북한 통틀어 1천 종류쯤 있는데 그 중에서 약 2백50여종이 사진과 함께 등장한다. 나무 연구에 평생을 바친 저자의 사진 자료와 이 책을 위해 3년여에 걸쳐 다시 찍은 궁궐의 나무 사진들이 수록돼 있어, 책만 보아도 고궁산책과 식물원 구경을 다한 것 같은 ... ...
- 달에 도착한 최초의 우주인 항아와 오강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달 속의 우주인들을 고구려 고분벽화 속에서 볼 수 있다. 두꺼비로 변한 항아 선녀와 약절구 찧는 토끼와 계수나무도 그려져 있다.그 후 1천2백년이 지나 서양에서 온 푸른 눈의 이방인들이 청나라에 선교사로 들어왔다. 그 선교사들이 만든 서양의 천문도 속에는 천체망원경으로 바라본 천체들의 ... ...
- 지능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된다. 심리학자들은 g는 문화적 맥락과 독립적이라고 보고 있다.취학 전 아동의 IQ차이의 약 40%가 유전적 차이에서 비롯되지만 성인이 되면 80%에 이른다고 한다. 즉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어린 나이에는 유전적 차가 두드러지지 않지만 독립적 생활이 가능해지면서 유전적 차이가 주도하게 ... ...
이전7497507517527537547557567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