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경우(E)였습니다. 차벽을 설치하지 않았을 때보다효율이 약 8% 증가했습니다. 권 선임
연구
원은 “인구밀도가 높은 초기 골든 타임에는, 진행을 가로막는 장애물로서의 단점보다 대피로로 안내해주는 가이드로서의 장점이 더 크게 작용한다”며 “100만 명 이상이 모인 집회인 만큼 차벽을 적절히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확인했다. 이경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농업
연구
사는 “(당시
연구
는) 완성된 닭 유전체 지도를 바탕으로 여러 가축화된 종간의 염기서열 차이를 분석해 SNP의 변이가 가장 많은 곳을 찾아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SNP의 유전적 다양성이 가장 큰 남아시아 지역이 야생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개별 결과를 모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수밖에 없다. 전세계 많은 영장류학자들이
연구
에매진하고 있으니, 어쩌면 머잖아 동성애에 대해서도 한걸음 더 이해할 날이 올 것이다 ... ...
[Career] 오뚜기 같은 도시를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송준호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를 취재하기 위해 자료를 찾던 중 그의 이력에 눈이 갔다. 송 교수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8년 6개월 정도를 미국 일리노이대에서 교수로 ... 포진해 있다”며 “재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진정한 의미의 융합
연구
”라고 말했다 ... ...
Part 4. 맨틀 속 신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대륙과 맞먹는 크기의 이 덩어리는 대서양 밑과 태평양 밑에 하나씩 존재하고 있었지요.
연구
팀은 이 덩어리에 ‘지진파 속도를 느리게 하 는 지역’이라는 뜻의 ‘LLV P(Large low velocityprovinces)’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아직 LLVP의 구성성분이나 밀도, 발생원인 등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 ...
[가상 인터뷰] 오염된 하천에서도 잘 사는 물고기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동물은 이 유전자의 다양성 수준이 훨씬 낮기 때문이지요.
연구
를 이끈 캘리포니아대학교 앤드류 화이트헤드 교수의 말에 따르면, 저희는 개체수가 많고 오염 물질의 농도가 다양한 지역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진화할 수 있었을 거래요. 하지만 저희가 특수하게 진화한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공룡이 짝짓기 시기에 어떤 구애 행동을 했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답니다. # 이번
연구
를 통해 흔적화석이 골격화석 못지 않게 공룡의 특징을 이해하는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다는 걸 알수 있었어요.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수많은 공룡의 발자국과 알 둥지 화석들이 계속 발견되고 있어요. 앞으로 ... ...
[도전! 코드마스터] SW를 지켜라 백신 프로그램!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백신 프로그램을 만들었답니다. 우리나라의 첫 백신 프로그램은 1988년 당시 ‘안철수
연구
소’에서 발표한 V1이에요. 이 프로그램은 80년대 후반 바이러스 ‘(C)Brain’을 없애는 데 큰 역할을 했지요. 그 후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서는 20여 개의 바이러스 검사 프로그램이 등장했답니다.당시에는 ... ...
[수학뉴스]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은 후천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관상용 물고기 구피의 수학 실력이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탈리아 파도바대학교
연구
팀이 구피 26마리에게 간단한 ... 동물은 상황에 따라 인지 기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를 따릅니다.
연구
는 ‘행동생태학과 사회생물학’ 1월호에 실렸습니다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년 01호
미국과 일본은 이런 태양광발전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요. 2015년 3월 일본우주항공
연구
기구 (JAXA)는 실제로 1.8㎾의 전력을 송전선 없이 55m 떨어진 수신기에 보내는 데 성공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과 전기의 짜릿한 만남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part 2. 전선 없는 ... ...
이전
749
750
751
752
753
754
755
756
7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