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4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2) 게임 만들어 보기
2019.05.22
재생시키면 시끄러운 기계음이 나오는데, 드라이버를 이리저리 돌리다 보면 가장
큰
소리가 나올 때가 있다. 여기가 바로 정확한 위치다. 순간 도파민 과다 분비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기다리던 음악의 후렴구가 들릴 때 느껴지는 행복감과 마찬가지다. 요즘 게임에 중독성이 있네 마네하지만 당시 ... ...
[이강운의 곤충記] 꽃가루 알레르기를 막는 방법
2019.05.22
주고, 외래곤충의 침입으로 꽃가루받이를 하던 곤충을 멸종시키니 기후변화는 이래저래
큰
악재다. 관리하기 편하다는 이유로 한 가지 작물만을 재배하고, 서식처를 쪼개어 식물 다양성을 감소시켜 화분매개 곤충 상을 단순화 시키고 살충제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그나마 풍매화 성장을 ... ...
2029년까지 100만명 규모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각자 보유한 진료 빅데이터는 꽤 크다. 예를 들어 핀란드 전체 인구(556만 명)보다도
큰
규모다. 정부는 이런 빅데이터를 외부 유출 등 부작용 없이 병원 내에서 신약개발과 의료기술 연구에 안전하게 활용되도록 내년부터 표준 플랫폼을 마련하는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하지만 신약을 개발하는 ... ...
빅데이터·신약 R&D에 2025년까지 연 4조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첨단산업 경험 등 잠재력을 바탕으로 최근 성과가 나오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신약 기술수출 규모가 5조3000억원에 달하고 수출도 144억달러로 2017년에 비해 19% 증가했다. 이번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의 핵심은 2029년 최대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⑧불편한 어깨와 손 동작 돕는 재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다양한 재활로봇을 마련해두고 재활로봇을 연구 개발하거나 임상시험하고 있는 국립재활원 재활로봇짐의 모습. 국립재활원 제공 몸이 불편한 환자의 치료를 돕는 재활로봇은 현재 국내에서 의료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로봇 기술로 손꼽힌다. 1990년대 말 스위스의 로봇회사 호코마와 미국의 ... ...
뇌 신경공학에도 '무어의 법칙'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뇌 연구실이 윤 교수가 만든 탐침과 기술을 쓰고 있다”며 “윤 교수는 신경공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했다. 현재 윤 교수와 ICAN이 다루는 신경공학 기술은 흔히 뇌파라고 불리는 전기 신호를 다루는 전기생리학 분야, 그 중에서도 특히 탐침을 내부에 이식하는 침습적 전기생리학 ... ...
마트에 들어온 비둘기
팝뉴스
l
2019.05.22
제공 비둘기가 미국의 대형 마트에 들어가
큰
소동을 일으켰다. 비둘기가 날아다니니 쇼핑객들은 재미 있어 하면서도 불편했다. 또 비둘기가 전시된 음식을 공짜로 뜯어 먹는 것도 문제였다. 무전취식하는 비둘기를 잡기 위해 마트의 직원이 나섰다. 미끼를 깔아 놓고 그 위에 박스로 만든 덫을 ... ...
[과학게시판] KAIST-고려대-성균관대, AI 대학원 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경쟁력 강화에 활용하는 ‘전문연구요원제도’는 과학기술 우수인재를 양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어 폐지 여부를 결정하기 어렵다. 전문가들은 폐지 대신 개선과 합리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22일 서울 양재동 KISTEP에서 제105회 ... ...
[2019 ICAN]“공학과 과학이 만날 공간,젊은 학자의 아이디어가 뇌공학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실패 위험이 있어도 질 높은 성과가 기대되는 연구를 하게 된 데에는 이 제도의 지원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뇌 측정 및 자극 분야 전문가로서 뇌공학의 미래를 물었다. “앞으로 몇 년 내에 뇌 속 더 자세한 부위까지 신호나 영상을 이용해 측정하고 자극을 주는 장비가 계속 ... ...
‘미세먼지 주범’ 화력발전소 오염물질 배출농도 10분의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이를 통해 화력발전소 탈황설비에서 나오는 오염물질 입자를 입방미터당 0.5mg까지
큰
폭으로 낮출 수 있다. 연구팀은 “EME 방식을 적용하면 별도의 습식전기집진기가 없어도 오염물질 입자를 입방미터당 0.5mg 이하 농도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개발된 설비에 대한 실증도 진행했다. ... ...
이전
750
751
752
753
754
755
756
757
7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