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d라이브러리
"
만
"(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지적 능력이 뒤처진다고 볼 수 있는 이유를 전혀 발견하지 못했다. 월리스는 인간의 진화
만
큼은 어떤 초자연적인 요소가 개입돼 형성됐다고 주장했다.김기윤 박사는 서울대 과학교육과를 졸업한 뒤 미국 오클라호마대에서 과학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한양대 등에서 과학사를 강의하고 있다. ... ...
[천문우주]태양계 밖 행성서 이산화탄소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경우 중심별의 빛과 행성에서 나오는 빛이 섞여 행성 대기 성분을 분석하기 어렵다. 하지
만
HD 189733b가 중심별 뒤로 숨는 ‘식’ 현상이 나타나면 이때 관측한 중심별의 빛과 비교해 행성에서 나오는 빛을 분리할 수 있다.NASA 제트추진연구소 마크 스웨인 박사는 “HD 189733b은 너무 뜨거워 생명체가 ... ...
[고생물학]거북, 등딱지보다 배딱지가 먼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뜻의 이름(Odontochelys semitestacea)이 붙은 이 거북은 배에서 단단한 딱지가 발견됐지
만
등딱지는 불완전한 상태였다. 연구팀은 갈빗대가 확장되고 등뼈가 부분적으로 넓어진 결과라고 해석하며 이 거북이 물속에서 포식자에게 딱딱한 배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헤엄치며 살아도 괜찮았을 것이라고 ... ...
[생물학]세계에서 가장 긴 곤충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신종이 발견됐다.영국 자연사박물관은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에서 채집한 대벌레가 100년
만
에 곤충 몸길이 기록을 2.9cm 경신했다고 지난해 10월16일 발표했다. 대벌레는 한자어 죽절충(竹節蟲)이 암시하듯 길쭉한 몸통이 대나무 가지를 연상케 한다. 대벌레는 3000여 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 사는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묻혀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감이 들었다. 아쉬움을 달래며 3차 탐사를 끝내고 돌아왔지
만
내 마음은 벌써 올여름 4차 탐사 계획으로 설레고 있다.이융남 박사는 미국 남부감리대에서 공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 초빙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개과천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반복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꼬집었다. 형편이 어려워 키우던 개를 버리는 경우도 있지
만
시끄럽게 짖거나 사람을 물고 똥오줌을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개를 버리는 사람이 훨씬 많다고 이야기한다. 이 소장은 “처음부터 문제를 일으키는 개는 없다”며 “맹목적인 애정보다는 적절한 ‘사회화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0.3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로 바이러스 크기와 비슷하다. 사람 키에서 바이러스 한 개
만
큼의 차이를 구분하기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상상해보라. 현재 스피드건뿐 아니라 정밀한 측정이 필요한 거의 모든 기기에는 맥놀이 원리가 활용되고 있다.유재준 교수는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스푸트니크를 위해 ‘바이로파지’(virophage)라는 새로운 범주를
만
들었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클라베리 박사는 “거대 바이러스가 살아있다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바이러스가 생명체인가에 대한 논란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했다. 수년 간 냉동고에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풍력발전기, 그리고 디스플레이까지 김 교수의 도전의 끝은 어딜까.컴퓨터에 ‘입샙’
만
깔면 최첨단 로켓부터 친환경 풍력발전기까지 척척 설계한다. 병렬컴퓨팅 환경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효율도 뛰어나다.다이아몬드처럼 빛날 ‘입샙’의 미래에 화이팅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하는 형질이 우수한 소가 태어나 정액을 확보했더라도 암컷 난자의 유전자와 섞이면 그
만
못한 새끼가 나오기 마련인데 이제 그럴 걱정을 할 필요가 없어진 셈이다. 관계자들은 5~6년 내에 복제 고기가 식탁에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지난해 광우병 파동의 기억이 아직 생생한데 이제 복제소를 먹어야 ... ...
이전
751
752
753
754
755
756
757
758
7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