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7,47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성범죄 악용 마약 '물뽕' 탐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개척의 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8일
국제
학술지 ‘바이오센서스 앤드 바이오일렉트로닉스’에 실렸다. 연구팀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를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도 GHB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
[인터뷰]"자원전쟁 시대, IoT·AI 등 스마트마이닝 도입해 핵심광물 자립화 나설 것"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인수하며 시장 장악에 나섰다. 자원의 무기화는 일상이 되고 있다. 이해당사자들이
국제
적 연합체를 구성해 핵심광물의 값을 올리고 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국내 월간 원자재 수입액은 관련 통계작성 이래 최고치인 317억3000만달러(약38조4408억원)를 돌파했다. 이 ... ...
인간 유전체 풀리지 않던 '8% 빈칸' 모두 채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33개 연구기관 과학자 114명으로 구성된 ‘텔로미어 투 텔로미어(T2T)’ 컨소시엄은 31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DNA 염기쌍 30억쌍을 완벽히 해독한 인간 유전체 정보를 공개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양 끝에 있는 말단 염기서열로 T2T는 유전체 전체를 뜻한다. ○유전체 읽는 새 안경 쓴 것과 ... ...
헤니파바이러스 단백질 구조 찾아 백신 개발까지 이어질까
과학동아
l
2022.04.04
감염에 핵심 역할을 하는 G단백질의 구조와 숙주가 결합하는 원리를 밝혀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m5561 헤니파바이러스의 표면에는 숙주 세포에 달라붙는 G단백질과 침투에 관여하는 F단백질이 존재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G단백질이 바이러스의 표면에서 ... ...
화성에선 5m만 떨어져도 대화 어려워..."지구 음속 3분의 2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22.04.04
화성탐사 로버 ‘퍼시비어런스’가 녹음한 소리를 분석해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2월 화성에 착륙한 퍼시비어런스의 마스트캠에 장착된 마이크 ‘슈퍼캠’에 녹음된 소리를 분석했다.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에 착륙한 이후 화성의 ... ...
"5세 미만 어린이, 델타보다 오미크론 입원·중증 가능성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4.03
5세 미만 어린이들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미국의학회지 소아과’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미국 의료기관을 방문한 5세 미만 어린이 65만1640명의 전자기록을 분석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이후 14일 간 어린이 ... ...
러시아 "
국제
우주정거장 협력, 경제 제재 해제될 때까지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22.04.03
로스코스모스의 반발로 곤란한 처지에 놓이게 됐다. NASA는 지난달 31일 러시아를 비롯한
국제
파트너들과의 ISS 공동 운영을 2030년까지 연장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과 러시아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지난달 30일 미국 우주비행사인 마크 반데 헤이가 ISS에서 러시아의 소유스 ... ...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 유전자 서열 마지막 8% 조각을 맞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03
’가 인간 유전자 서열의 마지막 퍼즐을 맞추며 비로소 인간 유전자 지도가 완성됐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1일 발간한 최신호에 이를 표지논문으로 다뤘다. 표지에 그려진 23개 흰색 줄을 X염색체와 1번부터 22번까지의 염색체를 표현한 것이며, 이 중 빨간색 영역이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 ...
[프리미엄 리포트] 산불이 더 날카로워지고 있다
과학동아
l
2022.04.02
건수가 늘지 않았거나 오히려 감소했다. 2020년 5월 중국 환경생태과학연구소를 비롯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아프리카에서 일어난 산불을 분석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16년까지 아프리카의 산불 피해 면적은 초반에는 증가했지만, 이후 감소했다. 연구팀은 그 이유로 강수량의 감소에 ... ...
[지구는 살아있다]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있다
2022.04.02
교수. 해양지질학을 공부하고 1986년부터 강원대학교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
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3월 15일 발행, [파고캐고 지질학자] 제주도 우도에는 구르면서 자라는 돌이 ... ...
이전
752
753
754
755
756
757
758
759
7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