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긍정적인 감정을 위주로 조사했다. 실험 결과 ‘편안하다’, ‘행복하다’, ‘즐겁다’ 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들 모두 중간 템포의 재즈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중간 템포의 범위는 5~109BPM였다. 어느 정도 빠르기인지 감이 안 온다면, 식당에 가서 노라 존스의 ‘돈 노 와이 ...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키를 추정할 때 쓰이기도 했는데요. 넙다리뼈(대퇴골)나 종아리뼈(비골), 위팔뼈(상완골) 등의 길이만으로 키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대퇴골의 길이는 키의 약 27%’라는 통계를 이용하는 것이지요. 즉, 기본적인 산수만 할줄 알아도 시체의 키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김전일의 추리처럼 ... ...
- [Tech & Fun] Inspired by human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개발한 인공혀는 단맛, 신맛, 떫은 맛 등을 분석해 서로 다른 23가지 화이트 와인을 구별하는 데 성공했다. 미각수용체의 구조를 본 따 만든 화학물질을 이용했다 ... ...
- [Tech & Fun] 광물이야기12 콩크레소-레온 황연석(Mimetite) 어느 모험가의 유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오지에서 이 같은 모험이 지속되고 있다. 바로 이런 모험가들 덕분에 우리 모두 박물관 등에 전시된 아름다운 광물 표본을 즐길 수 있다. 베니 펜은 2014년 2월 23일 향년 78세의 나이로 삶을 마감했다. 하지만 그의 광물은 영원할 것이다. Thank you, Benny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시작이었던 단백질 구조 분석도 계속 하고 있다. 이산화탄소가 결합하는 탄산탈수효소 등 다양한 단백질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고, 2014년에는 스스로 개발한 기법을 응용해 단백질보다 크기가 큰 박테리아의 구조를 X선으로 관찰했다.김 교수는 “새로운 분야를 연구하다보니 안정적이지 못하고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것이 없고요. 그런데 거울을 보세요. 눈을 비비고 다시 봐도 차고의 지붕이 마치 산등성이처럼 울퉁불퉁하지요?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수기하라 교수는 특정 방향에서 본 지붕의 모서리가 마치 지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지붕을 잘랐을 때 나타나는 단면처럼 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지붕을 ...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키가 쑥쑥! 자라는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지탱하지요.근육을 기르자!연구팀은 뼈 자체의 힘과 뼈가 자라는 속도, 주변 근육의 힘 등 여러 가지 변수를 바꿔 수학모형에 적용해봤어요. 그 결과 근육이 지지하는 힘이 적을수록 뼈가 자라지 않고 또 굵기도 가늘어질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답니다. 반대로 근육이 지지하는 힘이 크면 뼈가 쑥쑥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문명을 이루고 살고 있지 않을까요?공룡은 새로운 인류가 될 수 있을까?벨로시랩터 등의 소형 수각류는 몸집을 줄이고 뇌를 발달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했어요. 서로 역할을 나눠 단체 활동을 할 정도로 영리했고, 물건을 잡을 수 있는 앞발을 가지고 있었지요. 만약 이들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역할을 하거든요.양분을 제공하고 오염 물질을 정화시키고, 탄소와 물을 저장하는 등 표토의 기능을 경제적으로 따지자, 이렇게 금 못지않은 엄청난 금액이 나온 거예요. 알고 보니 흙수저가 정말 비싼 수저였죠?층이 대량으로 휩쓸려 내려갔고 결국 산사태로 이어졌어요. 우면산 산사태의 원인으로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경상대)·박주현(영남대) 등 3명, 농학 분야에서는 김대옥(경희대)·김세권(부경대) 등 2명, 동물학및식물학 분야에서는 박충모(서울대) 교수가 선정됐다. 현택환 교수는 소재과학 분야에서도 선정되는 영예를 누렸다 ... ...
이전7557567577587597607617627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