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척추동물의 조상이라 할 수 있는 척삭동물 ‘피카이아’도 이 시기에 등장했답니다.1989년 고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는 버제스 셰일 동물군의 발견이 당시 지구에 일어났던 거대한 진화를 의미한다고 밝히고, 이를 ‘캄브리아기 생물 폭발’이라고 부르자고 제안했어요. 지금도 이 용어는 ...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등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보여 주는 종이에요. 그 동안은 화석으로만 알려져 있다가, 1939년 살아있는 개체가 발견됐답니다. 그 결과 고생대에 일어났을 거라고 ‘추정’만 하던 ‘동물이 땅으로 올라온 과정’을 자세히 연구할 수 있게 되었지요.신종 연구는 생물다양성을 넓히는 방법이기도 해요. 20 ... ...
- 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있지요. 도대체 얼마나 많은 쓰레기들이 지구 주변에 있는 걸까요?케슬러는 알고 있었다!1978년, 미국항공우주국의 도널드 J. 케슬러는 인공위성들이 서로 충돌해 생긴 우주쓰레기들 때문에 결국 우주선을 쏘는 일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얘기했어요. 이를 ‘케슬러 증후군’이라고 부르지요. ... ...
- 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고민해 보는 건 어떨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쓰레기 청소 대작전Part 1. 우주는 쓰레기 천지?Part 2. 작고 무시무시한 우주쓰레기!Part 3. 우주쓰레기를 해결하라 ... ...
- [도전! 코드마스터] 컴퓨터가 내 몸 속 비밀을 쏙쏙!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점이에요. 사람의 경우 게놈은 약 30억 쌍 정도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어요. 한 쌍에 1초씩 보더라도 다 살피는 데 약 95년이 걸리는 어마어마한 숫자랍니다.다행히 이 가운데 단백질을 만들어 몸의 구성과 유지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는 10만 개 정도예요. 하지만 각 유전자의 형태뿐만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되지요. 이 단순한 형태의 사진을 격자로 나누고, 격자 한 칸의 색의 진하기에 따라 1과 0으로 값을 주어 정보로 저장한답니다.걸음걸이, 다리의 각도를 파악하라!걸음걸이도 열쇠가 될 수 있어요. 사람마다 다리 모양과 근육 강도, 힘줄의 강도가 달라 서로 다른 걸음걸이를 갖거든요.걸음걸이를 ... ...
- [과학뉴스] 펼치지 않아도 책을 읽을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30~300㎛(㎛=100만 분의 1m) 파장의 전자기파로, 투과율이 높은 특징이 있어요.연구팀은 문서 1장에 테라헤르츠파를 쏜 뒤, 종이와 잉크에 부딪혔다가 다시 돌아온 파동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종이보다 잉크에 부딪혀 돌아온 파동의 파장이 짧았지요. 이후 여러 장이 겹쳐진 문서에 테라헤르츠파를 쏴서 ...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똑같이 갖고 있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게다가 다른 진핵생물들보다 인간과 유전자가 약 1.2% 더 닮았다는 사실도 밝혀냈답니다! 우리 집에 놀러가지 않을래? 사실 연구팀은 우리 안경원숭이들만의 독특한 생리와 해부학적인 특징, 수유 행동에 대해 알고 싶어 연구를 시작했어요. 열심히 연구를 하던 ...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위 그림 ➊의 A와 B의 색깔을 주의 깊게 보세요. A보다 B가 밝게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그림 ➋를 보면 실제로 A와 B의 색깔은 완전히 똑같다는 ... 있는지 알아볼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거꾸로 보면 작아 보인다?!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016 UN청소년환경총회’가 지난 10월 1일부터 3일 동안 서울대학교에서 열렸어요. 300여 명의 청소년 대표단과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자원순환’에 대해 공식 결의안을 만들어 채택했답니다. 이 공식 결의안은 유엔환경계획(UNEP)에 전달할 예정이에요.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여한 송지호 ... ...
이전7557567577587597607617627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