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중
뒤
아래
이후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하
"(으)로 총 2,244건 검색되었습니다.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08
이용한 광도파로입니다. 플라즈몬파를 이용해 광신호를 전송할 경우 도선을 50nm
이하
의 두께로 만들 수 있습니다.”이 교수는 “광섬유는 광신호를 전달하는 코어를 중심으로 주변에서 신호의 세기가 조금씩 작아지기 때문에 대용량의 정보를 전달하려면 큰 부피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하지만 ... ...
몸짱만든다는 단백질 보충제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07
사람의 1일 에너지 권장량은 2000~2500kcal인데, 이 중 탄수?물은 55~60%를 차지하고 지방은 30%
이하
이며 단백질은 10~15%를 차지한다. 단백질은 대부분 신체 조직을 구성하는 데 쓰이고 탄수화물과 지방은 몸을 움직이는 에너지원이다. 사람이 1일 에너지 권장량보다 적은 열량을 섭취할 경우 우리 몸은 ... ...
소마큐브를 업그레이드한 창의블록
과학동아
l
200907
정도로 학습 효과도 뛰어나다.하인은 대학에서 강의를 듣던 중 크기가 같은 정육면체 4개
이하
로 조합된 블록을 이용해 더 큰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작은 정육면체 3개로 이뤄진 3블록과 4개로 이뤄진 4블록으로 총 7개 조각의 소마큐브를 고안했다. 소마큐브 7조각으로 3× ... ...
‘공기파도’로 모양 구분해 신약 효능 분석한다
과학동아
l
200907
때문이다.권 박사는 “기존 질량분석기에 ‘이온 이동 분리칸’(Ion Mobility Separation Cell,
이하
IMS셀)을 더한 ‘시냅 HDMS’가 해답”이라고 말했다. 시냅 HDMS는 50~8만Da(돌턴, 1Da=1.67×10-24g(수소 원자의 질량))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IMS셀 안에 들어간 이온은 일정하게 진동하는 공기파도 ...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07
한다는 얘기다.지난해 열린 제5차 우주개발 진흥전략 심포지엄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하
항우연) 이상률 박사는 한국형 발사체가 지구 상공 300km까지 달 탐사선을 싣고 올라간 뒤 우주 공간에서 추진 기관인 ‘고체 킥모터’를 작동, 달을 향해 38만km를 곧장 비행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연료를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07
들었다.빙하로 가면서 채집했던 생물시료를 기지에 가져와 관찰했다. 식물이 영상 5도
이하
의 차가운 물에서 살 수 있는 건 결빙방지물질을 분비하기 때문이다. 혹독한 기후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기보호방법이다. 극지방에 사는 생물들이 어떻게 추위를 견뎌내는지 궁금했는데 이제야 (궁금증이)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07
39(239Np)를 거쳐 플루토늄239(239Pu)로 변한다. 일반적으로 폐연료봉에는 플루토늄이 0.09%
이하
로 들어 있다. 핵폭탄을 만들려면 폐연료봉을 재처리해 플루토늄을 분리한 뒤 순도 90% 이상으로 농축시켜야 한다. 플루토늄은 ‘퓨렉스’(Purex)법이라는 공정으로 얻을 수 있다. 폐연료봉을 잘라 질산에 녹인 ... ...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07
열매가 되고 씨방에 있는 밑씨는 자라 씨앗이 된다.크기가 100㎛(마이크로미터, 1㎛=10-6m)
이하
인 꽃가루가 꽃밥 속에 수천 개씩 들어 있지만 모두 수분에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나머지는 토양 입자인 실트(지름 2∼20㎛)나 점토(지름 4㎛
이하
)와 함께 바람이나 물을 타고 습한 곳으로 운반되다 퇴적돼 ... ...
400년 된 무덤에서 되살아난 금빛
과학동아
l
200907
떨어져 나가고 있어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국립민속박물관 오준석 학예연구사(
이하
학예사)는 “문화재 보존 연구를 먼저 시작한 서양에서도 직물로 된 유물은 처리가 까다로워 부분 세척이나 진공 흡입법과 같은 기초 처리만 하고 손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게다가 조상들이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07
동심원 회절판을 기존의 X선현미경에 적용해 당시 세계 최고 해상도인 해상도30nm
이하
의 X선현미경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최근에는 이 X선현미경의 해상도를 16nm까지 높였다.조영제 없이 미세혈관 찍고 전기도금 과정도 찍고제 교수는 “X선현미경은 기존의 X선 영상장치보다 약 3000배 세밀한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