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반상대론
100
주년 독자설문조사 “물리학의 가장 위대한 발견은?”
과학동아
l
201412
2015 일반상대성이론
100
주년 기념 독자설문조사에 참여해주세요.투표결과는 2015년 1월호 ‘일반상대성이론’ 특집기사에서 공개합니다.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12
있어요. 핵융합의 성공을 위해 아주 중요한 분야지요. 우리 연구 성과에 대한 신뢰도도
100
%로 높여야지요. 이를 위해 앞으로 해외 석학도 모셔오고, 연구 환경도 개방형 시스템으로 바꿀 계획입니다.” 김 소장은 고등학교 때부터 지금까지 핵융합 한 길만 걸어왔다. 화학공학 박사였던 김 소장의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12
차원에서는 구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2. 일반상대성이론 어렸을 때 떠난 아버지가
100
년이 지나 돌아왔다. 약간의 상처가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얼굴은 떠날 때 그대로다. 오랫동안 하염없이 아버지를 기다리던 딸은 병원에 누워 생의 마지막을 바라보고 있다. 어떻게 된 일일까?하필이면 ... ...
고민하는 초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2
그 이유는 주변에 흔하게 있고 키우기가 쉽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우리는 알을 한번에
100
개 이상씩 낳고 성장 기간이 짧아요. 알에서 새끼가 태어나 어른으로 자라는 데 열흘밖에 걸리지 않거든요. 염색체수가 적고 눈의 색깔이나 다리의 모양처럼 유전적인 특징이 뚜렷한 것, 돌연변이가 자주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12
1초에 11.2km 이상으로 꾸준히 날아가야 지구를 탈출할 수 있다는 소리다. 지름이 지구의
100
배인 태양의 탈출 속도는 초속 약 618km이다. 탈출 속도는 보통 천체가 크고 무거울수록 커진다. 그렇다면 1초에 약 30만km를 가는 빛은 어디서나 중력을 이기고 탈출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빛조차 탈출하지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
수학동아
l
201412
동전을 무제한으로 써도 아무런 법적인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5만 원을
100
원짜리 동전 500개로 내도 된다. 아무리 동전의 개수가 많아도 거부할 수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미국을 제외한 많은 나라에서 동전은 무제한으로 쓸 수 없도록 돼 있다. 일정한 개수나 금액을 넘어서는 동전은 법적으로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12
않는 자기장을 이용하면, 뜨거운 플라스마 불새를 가둘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또 있다.
100
m 선을 그려서 그 위로 아이들이 달리게 하는 데는 성공했는데, 트랙이 너무 짧다. 효과가 잠깐에 불과한 것이다.
100
0m 트랙을 만들어 봤자 소용이 없다. 어차피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플라스마는 금세 뚫고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
과학동아
l
201412
생각했다.“선생님 그건 잘못 생각하시는 겁니다. 조현병은 아드님의 잘못이 아닙니다.
100
명 중 한 명 꼴로 반드시 생기는 질병일 뿐입니다. 아드님이 당뇨나 암에 걸렸어도 이러셨겠습니까?” 갑자기 노신사가 신경질적으로 귓속을 수건으로 닦기 시작했다. 순간 그녀가 말해준 시아버지의 습관이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12
중성자가 핵융합로와 부딪혀 방사성 폐기물을 만들기는 한다. 하지만 이 폐기물조차 50~
100
년이 지나면 독성이 석탄 화력발전소보다 떨어진다.무한청정에너지를 향한 꿈 - 핵융합의 3단계핵융합은 원전에 비하면 엄청나게 폐기물이 적지만,
100
% 청정한 에너지라고는 할 수는 없다. 이런 한계를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12
석촌호수에 전시됐던 러버덕을 떠올리면 비슷해요. 크기가 훨씬 크긴 하지요. 길이가 4
100
m니까. 하여튼 머리와 몸통 사이에 가느다란 목 부분에서 먼지와 가스가 먼저 분출됐다고요. 이건 기존 예상을 벗어난 일이었어요. 독일 막스플랑크 태양계연구소의 장-밥티스트 빈센트라는 과학자는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