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귓바퀴
귀퉁이
모퉁이
귀구멍
귓구멍
거북선
d라이브러리
"
귀
"(으)로 총 1,551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정약전의 애민사상을 읽을 수 있다면 그것으로도 충분한 건 아닐까. 자산어보는
귀
납적 연구방법과 현대적 생물분류학에 버금가는 분류 체계, 애민사상이 결합해 창조된 어류보고서이다. 이 책은 단지 생물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분류가 지향해야 할 방향, 즉 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의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도착합니다. 브롭딩낵은 릴리퍼트와 달리 거인들이 살고 있는 나라입니다. 거인들의 손아
귀
에 들어갈 정도로 작은 걸리버는 브롭딩낵의 음악 소리가 너무 커서 잘 들을 수 없다고 불평합니다. 그런데 과연 거인들의 악기에서 나는 소리가 크기만 할까요? 케플러의 제 3법칙그들은 화성의 주위를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 수상자가 발표되기 때문에 온 세계 수학자들의 눈과
귀
가 집중된다.“국제수학자대회가 열리고 나면 그 나라의 수학 수준이 급격히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학자는 물론 대중들의 관심도 모으고, 잠재력이 있는 젊은 수학자들이 국제 무대에 데뷔해 자신감도 ... ...
‘제8회 3M 청소년 사이언스캠프’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말했다. 실제로 캠프가 진행되는 동안 쉬는 시간에는 어린 학생들이 100명 넘게 모여 있어
귀
가 따가울 정도로 시끌벅적했지만, 일단 수업이 시작되면 쥐 죽은 듯이 조용해졌다.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부산 대연중 1학년 최윤창 군은 “프로그램 가운데 ‘포트폴리오 ... ...
좌표 위에 선 χ의 변신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데카르트가 개발한 좌표가 음악의 악보와 비슷하다고 생각해. 11세기 이탈리아의 성직자
귀
도 다레초는 4개의 선 위에 음표를 표현하는 방법을 개발했거든. 음악시간에 보던 오선지 위의 음표 생각나지. 처음에 다래초는 음악이 진행되는 순서에 따라 평행선 4개를 그었어. 거기다가 음의 높낮이에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준비돼 있으니 가까운 보건소에 가서 접종하라’고 친절하게 알려줘도 한
귀
로 흘리던 사람들이 신종 플루 백신개발 현황에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신종 플루 백신은 빨라야 11월 초에 나오고 그나마 정부가 국내 제약사(녹십자)가 내년 2월까지 만들 생산량 600만 명 분량을 전량 사들여 ... ...
오감으로 관람하는 체험형 과학전시회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용하면 다양한 진동수의 정상파가 발생할 때 나타나는 무늬를 볼 수 있다.
귀
로 듣던 소리가 시각화되는 신기한 경험인 셈이다. 과학관의 임광선 수석 실장은“이번 특별전은 많은 학생들이 어렵고 재미없다고 여기는 물리와 친근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기획했다”며“직접 여러 가지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실었으며 모기 다리를 모방해 물 위에 떠다니는 나노로봇을 개발할 예정이다. 흡혈
귀
로 알려진 모기가 의학 연구를 돕는 일부터 태양전지, 나노로봇 같은 여러 발명품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여름이면 찾아오는 모기가 싫어~ 모기를 피하는 방법 모기향, 살충 스프레이, 모기매트…. 모기에 ... ...
신생아도 숫자 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스크린을 훨씬 더 오랫동안 쳐다봤다.이에 대해 이자드 교수는 “아기가 눈으로 본 수와
귀
로 들은 횟수를 연관지을 줄 안다는 증거”라며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숫자를 인식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간혹 숫자 개념을 아는 것처럼 행동하는 동물도 있다. 하지만 이는 ... ...
의학과 전자공학의 ‘행복한 만남’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없다.인공와우는 감각세포가 손상된 달팽이관의 기능을 대신한다. 인공와우의 일부는
귀
뒤의 두피 밑에 장착하고 나머지는 달팽이관 속에 삽입한다. 물론 장비를 몸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수술 과정이 필요하다.“신경보철은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간편하지만 환자의 수술이 불가피하죠.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