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8,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종이접기하듯 접었다 펴는 DNA 나노구조체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종이접기의 달인 과학마녀 일리는 최근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DNA도 접을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한껏 흥분했어. DNA를 어떻게 접는다는 걸까? 일리가 물어보고 올게! Q. 자기소개 부탁해.A. 안녕. 나는 DNA야.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이지. DNA는 두 개의 가닥이 이중나선을 이루는 구조로, ... ...
- [기획] 로봇, 지휘자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정확한 박자라면 로봇을 따라갈 수는 없겠지? 수십 명의 연주자가 모인 오케스트라를 이끈 우리나라 최초의 로봇 지휘자 ‘에버 6’의 무대를 소개할게! 로봇과 사람이 함께한 오케스트라지난 6월 30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국립국악관현악단의 공연 가 진행됐습니다. 로봇 지휘자 ... ...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기네스북과 영국 백과사전은 아프리카의 나일강을 세계에서 제일 긴 강으로 인정하고 있어. 하지만 브라질에 있는 아마존강이 제일 길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지. 왜 서로 주장하는 강의 길이가 다른 걸까? 강 길이, 제각각 다른 이유는?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은 어디일까요? 미국 지질조사국과 ... ...
- [가상 인터뷰] 암흑 물질 탐정 등장!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최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이어 새로운 우주 망원경이 발사됐어. 임무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를 찾는 거라고 하던데 …. 보이지도 않는 물질을 도대체 어떻게 찾는다는 거야?! 안녕! 자기소개 부탁해. 난 유럽우주국(ESA)이 개발한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이야! 지난 7월 1일 미국 플로리다 ... ...
- 무궁한 나라꽃 300종이 넘는다?!, 무궁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무궁화 무궁화 우리나라꽃~♪ 삼천리 강산에 우리나라 꽃~.”이 동요 들어본 적 있나요? 8월 8일은 무궁화의 날입니다. 2007년 어린이들의 바람을 담아 나라꽃 무궁화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날이지요. 무궁화가 나라꽃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300종이 넘는 무궁화의 비밀을 소개합니다! ▼이어 ... ...
- 무궁화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무궁화는 매일 매일 새롭게 피어나는 꽃입니다. 무궁화의 한살이와 종류에 대해 소개합니다! 알고 보면, 무궁화는 정말 다양하게 생겼답니다. 무궁해서, 무궁화! 무궁화는 ‘무궁하다’는 뜻을 가진 꽃이에요. 매일 새로운 꽃을 피우기 때문이죠. 해가 뜰 때 꽃이 피어나고, 해가 지면 같이 꽃이 지 ... ...
- [현장취재②] 우동수비대 4기, 미어캣 정형행동 관찰 현장 교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정형행동 관찰을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 모르겠다는 우동수 대원들의 질문에 전문가가 직접 대원들과 함께 동물원에 가서 미어캣의 행동을 관찰했습니다. 동물 보전과 복원 생태학을 연구하는 국립공주대학교 김민주 연구원과 함께한 교육을 확인하고, 여러분도 동네 동물원으로 출동해 주세요! ... ...
- [통합과학교과서] 또 거짓말?! 소년의 진심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 동화마을에 무슨 일이?소년이 거짓말쟁이로 몰린 사연 탐정사무소로 돌아가고 있던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양치기 소년의 울음소리를 듣고 자연스레 걸음을 멈췄습니다. 양치기 소년은 자리에 주저앉아 엉엉 울고 있고, 마을 사람들은 의심의 눈초리로 소년을 바라보고 있었어요. “무슨 일 ... ...
- 분동이와 분나의 우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그날 밤, 장사를 마친 분동이는 꽉 차 있는 장독대에서 3/5만큼의 쌀가루를 덜어서 지게에 실었어요. 분나에게 몰래 쌀가루를 가져다주기 위해서였지요.“1- 3/5을 계산하면 2/5가 남네. 나는 2/5만큼만 있어도 충분히 내일 장사를 할 수 있으니, 분나에게 슬쩍 가져다줘야겠어!”분동이는 쌀가루를 지 ... ...
- [찰칵! 전시회] 알아두면 쓸데 있는 분수 사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백열전구★의 탄생 확률은 1/3000 미국의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은 ‘백열전구’를 발명했어요. 에디슨은 백열전구에 들어가는 전기 필라멘트★를 만들기 위해 약 3000개의 이론을 세우고 실험하길 반복했지요. 에디슨이 백열전구 발명에 성공할 가능성을 분수로 나타내면 약 0.000333...%, 백분율로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