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밀도
색도
밀집 상태
비중
효력
분자
d라이브러리
"
농도
"(으)로 총 1,70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물질은 순환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세포로 이동해 C3화합물과 CO2로 분해되므로 그곳의 캘빈 회로에 있는 루비스코는 풍부한
농도
의 CO2와 결합할 수 있다. 즉 C4식물의 경우 C4 경로는 엽육 세포에서, 캘빈 회로는 유관속초 세포에서 일어나도록 공간을 분리했다. CAM식물은 선인장과 같은 사막 식물로서 수분 손실을 막기 위해 낮에는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빛을 투과시키면 빛의 산란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빛이 투과될 수 있다. 그러나 비누의
농도
가 증가해 미셀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입자 크기가 큰 미셀이 용액 내에 존재하므로 빛을 투과시키면 빛의 산란이 일어나 빛이 진행하는 경로가 눈으로 보이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3) 먼저 구형의 미셀이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온, 즉 맛있다고 느껴지는 짠맛을 감지하는 데만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높은
농도
의 이온(나트륨뿐 아니라 칼슘 등 다른 이온도 포함)을 감지해 먹지 말라는 짠맛 신호를 보내는 수용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신맛 수용체 역시 주커 교수팀과 리바 박사팀이 발견해 2006년 ‘네이처’에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산화력을 갖고 있어 성층권의 오존과 반응해 오존을 산소로 되돌리고, 그 결과 오존의
농도
가 감소한다.그런데 이 염소 원자는 반응물이 아닌 촉매 역할을 하기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된다. 실제로 염소 원자 1개는 1만 개 이상의 오존분자를 파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FC가 오존층을 파괴한다는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극자외선이나 우주방사선을 지표면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흡수한다. 만약 열권의 대기
농도
가 옅어지면 자외선이나 우주 방사선 같은 고에너지 복사선이 지표면으로 내려올 것이다. 성층권의 오존층이 자외선을 막아주고 있지만 오존층의 구멍은 계속해서 넓어지고 있다. 오존층 구멍이 넓은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모두 친한 성질이 있는 유화제를 실험에 사용했다. 유화제를 이루는 입자들은 일정
농도
가 지나면 달걀껍질처럼 구형의 틀만 남기고 속이 빠져나간다. 이 껍질 속에 단량체를 넣고 중합시키면 균일한 크기의 고분자를 만들 수 있다. 결국 장 교수와 오준학 연구원은 연구를 시작한 지 1년 만에 ... ...
살 빼면 건강 해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POP의
농도
를 분석했다.그 결과 몸무게가 많이 줄어든 사람이 많이 늘어난 사람에 비해 POP
농도
가 50%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POP가 지방 조직에 축적돼 있다가 지방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빠져나와 혈관 속으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연구팀은 1년 정도의 단시간 동안 살을 뺐을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세포막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자극 분자가 결합함으로 막 전위를 변화시킨다. 용질의
농도
를 전반적으로 감지하는 수용기와 특정 분자에만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특수수용기가 있다. 전자기수용기는 가시광선, 전기, 자기력등 다양한 전자기에너지를 감지한다. 가시광선수용기로는 눈이 있다. 뱀이나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성체 생쥐의 뇌에서 신경세포가 생성됨을 입증한 건 아니다. 뇌에서 꺼낸 뇌세포에 고
농도
의 EGF를 넣어 배양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웨이스 교수는 이런 결과가 뇌세포 덩어리에 포함돼 있는 줄기세포 때문이라고 확신하고 그 뒤 신경줄기세포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 연구가 ... ...
[화학] 화학평형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쪽으로 진행된다.반응지수(Q)온도가 일정할 때 평형 상수식에 평형
농도
가 아닌 현재의
농도
를 대입해 계산한 값을 반응지수(Q)라고 한다. 반응지수와 평형상수의 크기를 비교하면 반응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만일 Q<K라면 평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Q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반응이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