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상
파두
badawi
d라이브러리
"
바다위
"(으)로 총 1,78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한국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 천리안이 4월 공식 임무를 시작했다.다음 달이면 천리안 위성이 우주로 떠난 지도 1년이 돼 간다.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지구 상공 3만 5800km 높이에 떠 있는 천리안 위성의 궤도를 일주일마다 조정하고 있다. 인공위성 궤도조정은 정밀하고 까다로운 조작 ... ...
남미의 뿌리, 안데스 산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한반도에 태백산맥이 있다면 남아메리카에는 안데스 산맥이 있다. 총 길이 7000km, 평균 해발고도 4000m에 이르는 이 거대한 산맥은 남아메리카의 서쪽 해안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남아메리카에서 안데스 산맥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 지구 최대의 열대우림을 만든 아마존 강은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한반도에서 수백~1000km 떨어진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고선량 방사선 위험은 없다. 하지만 저선량(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1mSv보다 적은 방사선량) 위험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는 것이 파트 1의 결론이다. 하지만 어떤 경로로 저선량 방사선이 도달하는지, 그 ... ...
내 별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한국천문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19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신범영 씨가 ‘IC 1396’이라는 작품으로 영예의 대상을 받았다. 심사를 맡은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영범 박사는 “대상작은 암흑성운과 발광성운이 잘 어우러지고, 6시간이 넘는 긴 노출시간에도 초점이 잘 ... ...
'거짓말 없는 세상' 에서 수 읽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배불뚝이 들창코에 무능한 남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화가 있다. 2009년에 개봉한 ‘거짓말의 발명’ 이라는 영화다. 이 영화는 반전은커녕 그 흔한 액션 한 컷도 없고 전혀 코믹하지 않지만 묘한 매력을 갖고 있다. 이 영화의 배경은 우리가 사는 세상과 똑같지만 ‘거짓말’ 이 없다. 말 그대로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았다. 아니 어떤 영화도 그렇게 무서운 장면을 담담하게 담아낸 적은 없었다. 해저 지진이 만든 집채만 한 지진해일(쓰나미)은 고속열차와 같은 속도로 돌진해 순식간에 평화로운 어촌을 집어 삼켜 버렸다. 목조건물은 산산조각이 났고 자동차들이 물살에 이리저리 휩쓸려 다 ... ...
생태계 변화, 수학으로 미리 안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흰개미를 직선과 곡선 길에 풀어 놓고 관찰한다. 또 어항에 물고기를 기르며 동물 실험도 한다. 복잡한 수식만 나열할 것 같은 수리연에서 왜 이런 실험을 하는 걸까?바닷속에서 상어 한 마리가 물고기를 사냥하려고 물고기 떼 가운데로 달려든다. 여유롭게 헤엄치며 뭉쳐 ... ...
첨단 기술로 배를 띄워라!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안녕? 난 바다의 귀염둥이 돌고래야!방금 ‘뿌웅~!’ 하는 소리 들었지? 인간들이 만든 거대한 물고기가 지나가고 있어.저 물고기는 저렇게 큰데도 어떻게 물 위에 떠서 다닐 수 있는 걸까?가까이 가서 본 적이 있는데, 지느러미도 없고 피부도 딱딱해 보이는 게 엄청 무거운 것 같았어. 물 밖으로 나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의 북동쪽 바다 밑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해일과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사고가 뒤따르며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졌다. 두려움은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법. 지진에서 방사선까지 자세히 파헤쳐 보자.지진에 이은 지진해일의 영향으로 마을 안쪽까지 배가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예술적 영감으로 충만한 화가가 붓을 들어 솜씨를 발휘해 놓은 걸까. 초현실주의풍의 유화 전시회에 온 분위기다. 화려한 색채와 기묘한 패턴은 어디에 내놓아도 빠지지 않을 듯하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화가는 사람이 아니라 인공위성이다. 그림의 대상은 바로 지구다.우리가 보는 하얀 구름과 푸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