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백
d라이브러리
"
분명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의미 깊은 연구를 다수 발표해왔다. 그는 한국에서 용도와 제작 연대조차 불
분명
했던 구리로 만든 원판형 기구가 조선 후기에 서양천문학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별자리판이라는 사실을 밝혀 학계에 보고했다. 또한 그는 1998년 발굴돼 세상을 놀라게 했던 일본의 키토라 고분 천장에 그려진 성도를 ... ...
하이브리드·유니크니스·미니멀리즘의 삼박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콰란타’(Quaranta)는 40년 전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옮겼다.콰란타의 외양은
분명
슈퍼카다. 낮은 차체에 엄청난 스피드를 낼 듯 공격적인 디자인이다. 하지만 엔진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최소 400마력 이상의 출력이 필요한 슈퍼카를 하이브리드로 구현하기 위해 콰란타는 태양열을 최대한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의사들이 성전환수술을 꺼리는 것은 사실이다. 물론 남녀한몸증 환자나 염색체상 성이 불
분명
한 환자는 성전환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 지난해 7월 국내에서도 성염색체상 여성이지만 남성의 생리구조를 지니는 반음양증을 앓던 한 살짜리 ‘중성’ 아기가 성전환수술을 받은 뒤 남성으로서 삶을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금의 다람쥐와 생쥐의 모습을 귀엽게 합성한 가공의 쥐다. 하지만 빙하시대에도
분명
우리가 알고 있는 쥐와 비슷한 모양을 한 설치류인 리차드슨땅다람쥐, 하얀꼬리프레리독, 흰발생쥐 같은 설치류들이 잔뜩 있었으니 너무 섭섭하게 생각하지 말자.쥐꼬리 상식2007년 12월 인도네시아의 정글에서 ... ...
지혜 담긴 집 한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느끼는 까닭은 지름길을 모르기 때문이다.효율을 살리는 것을 기능이라고 할 때 한옥은
분명
기능적이다. 지름길은 기능주의의 대표적 형식이다. 다만 효율의 존재를 다원주의적 요소 속에 묻어두고 꼭 필요할 때에만 꺼내 쓰게 했을 뿐이다. 효율에만 목을 매며 소중한 많은 것들을 매장시키는 ... ...
활활~ 얼음에 불이 붙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하지 않았습니까? 자, 보세요. 불타고 있는 얼음을!”가리고 있던 천을 치우자
분명
불붙은 얼음이 보인다. 그걸 보고 관객 몇몇은 코파필드야말로 최고의 마술사라며 칭송하기 시작하는데….사건 분석 ❶ 얼음은 탈 수 없나?“여러분, 이건 절대 눈속임이 아닙니다. 전 이 얼음에 아무 짓도 하지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않겠어. 또 빨래를 했을 때 캡슐이 떨어져나갈 수도 있고.하지만 이런 점만 보완하면
분명
온도 변화에 맞게 내 몸을 보호해 주는 옷을 만들 수 있을 거야. 실제로 일본에서는 이 물질을 이용해 쾌적한 느낌을 주는 침구류를 개발했고, NASA에서도 우주복을 만들었다고 하는군.하나 더! ‘펠티어 ... ...
까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듯 하다.“지금까지 알아본 것처럼 물론 까마귀는 지능이 높고, 또 반짝이는 걸 좋아하니
분명
동전을 물어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그렇죠? 역시 닥터고글은 이해가 빨라요. 어때요? 나랑 동업하지 않을래요? 그럼 닥터고글도 백만장자가 될 수 있어요!”“하하, 전 사양하겠습니다. 동전이 얼마나 ... ...
랄랄라~ 고속도로가 노래를 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노래가 들리기 시작하는데…. 역시 ‘비행기’ 라는 동요의 멜로디였다.“
분명
귀신이 곡하는 건 아니네요. 그렇다면 노래가 들리는 곳이 어디인지부터 알아봐야겠어요. 제트, 위치를 파악해 줘.”제트가 인공위성 위치추적 시스템을 이용해 알아 낸 정보에 의하면 이 곳은 경기도 시흥시 금이동 ... ...
천기누설 날름도사 '혀'씨의 고민을 해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맛이 다르게 느껴지는 거예요. 하지만 쓴맛은 조금 달라요. 쓴맛을 느끼는 정도의 차이는
분명
하답니다.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않았지만 유전적인 이유가 크다고 해요.의문 3) 어리광쟁이 혀 씨 -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제가 단맛을 좋아하고 쓴맛을 싫어하는 것은 다 이유가 있어요. 단맛은 보통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